기업은행장 기재부 출신 내정설에 노조 반발

최근 기업은헹이 차기 은행장과 관련 낙하산 인사가 거론되고 있다. 과거로 회귀다. 다른 은행과는 달리 기업은행은 단순한 민간 은행이 아니기 때문이다.

기업은행은 우리나라 기업과 호흡을 함께한 금융기관으로 반역사를 함께 해왔다.

정부가 IBK기업은행장에 기획재정부 차관 출신인 허경욱 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사 내정설이 나돌자 해당 노조가 반발하고 나서 인사에대한 잡음이 또 시끄럽다.

금융노조 기업은행지부(위원장 홍완엽)는 지난 13일 성명에서“은행장 선임 과정이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 없이 정권의 자리 나눠 먹기 식이거나 퇴직관료의 자리 만들어주기 식으로 이용돼서는 안 된다”며 “낙하산 인사를 단행할 경우 노조는 총력투쟁으로 맞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부가 요구하는 새 행장의 자격 요건은 기업은행 출신으로 전문성을 갖추고 건전하고 균형적인 노사관을 제시했다.

지부는 “기업은행의 역할과 국민경제에 미치는 중요성을 감안할 때 정치적 고려가 아닌 은행과 중소기업의 상생을 열어 갈 수 있는 적임자여야 한다”며 “능력 있고 검증된 기업은행 출신 인사가 바람직하다”고 촉구했다.

이어 지부는 “직원들의 바람을 무시하고 정부의 눈치만 보던 무소신·무책임·몰염치 행장에게는 아무것도 바랄 것도 없다”며 “조직과 직원들을 진심으로 이해하고 함께하는 노사관을 지닌 인물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현재 금융공공기관과 협회·금융지주회사의 최고경영자 26명 중 절반 이상이 재무관료인 ‘모피아’로 채워져 있다. 박근혜 정부 들어서만 8곳에 모피아들이 포진했다”며 “정부가 창조경제를 하겠다면서 특정세력이 득세하는 정부는 기업은행의 정체성을 명확히 해야한다.기업은행이 우리나라 대표 서민은행으로, 또한 기업전문 금융기관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낙하산 악순환의 고리부터 정부가 먼저 끊어야 한다는 것이 금융계의 정론이다.

전문 지식도 없이 자리에만 연연하다 떠나가는 철새 행장은 아무런 도움이 못된다.

낙하산 행장과 측근으로 채워지는 기업은행이라면, 기업의 동반자가 될 수 없다. 노조가 정부인사에 맞서는 이유는 바로 이런것 때문이 아닐까?

[중앙뉴스/윤장섭 기자]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