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생존 압박 수위 한계치에 달해

[중앙뉴스 / 박주환 기자]근로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업선택 요건이 직업안정성 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105개 직업군의 성인 재직 근로자 3천148명을 상대로 직업가치관 검사한 결과를 27일 밝혔다. 

 

성취, 봉사, 개별활동, 직업안정, 변화지향, 몸과 마음의 자유, 영향력 발휘, 지식추구, 애국, 자율성, 금전적 보상, 인정, 실내활동 등 직업선택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13가지 항목에 대한 개인의 중요도를 측정하는 직업가치관 검사결과에 따르면 대한민국 성인 근로자들은 직업선택에서 직업안정을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지난 2004년 조사 결과 1위 성취, 2위 몸과 마음의 여유, 3위 직업안정, 7위 금전적 보상, 10위 봉사, 11위 애국 순이었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2위 몸과 마음의 여유, 3위 성취, 4위 금전적 보상, 11위 봉사, 마지막 13위 애국 순으로 나타났다.

 

팍팍해진 정치, 경제 등 외부환경 요인으로 인해 타인이나 국민에게 기여하고자 하는 여유는 낮아지고, 안정, 몸과 마음의 여유로움 등 생존을 중시하는 경향은 더 높아진 것으로 해석된다.

 

연령별 비교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취업자들은 대부분 직업안정과 몸과 마음의 여유를 직업 선택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했고, 특히 연령층이 낮을수록 애국 요인을 가장 최하위에 뒀고, 40대와 50대는 '애국'을 각각 9순위와 10순위로 꼽아 연령층이 어릴수록 보다 생존에 심대한 압박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정보원 관계자는 "계약직이 늘고 40∼50대 조기퇴직이 증가하는 등 고용유연성이 커지면서 구직자들이 안정된 직업을 가지려는 욕구가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고 그 결과 애국, 봉사보다 직업안정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면서 "개인의 직업가치가 충족될 때 직무만족과 성과도 높아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기업과 정부 등은 고용안정과 정년보장, 일과 가정의 양립이 가능한 근로환경 조성 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