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안사기 잘했네...6·27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최고가 거래 74% 하락
부동산 시장, 정부 규제에 급제동...서울·수도권 주택시장, 관망세로 전환
[중앙뉴스= 윤장섭 기자]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에서 거래량이 급감했다. 정부가 수도권·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 상한을 6억 원으로 묶는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를 발표한 지 2주 만에 ‘최고가 거래’가 74%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6월 27일 대책 발표 전 2주간(6월 13일~26일)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는 총 4693건으로 이 가운데 1141건(24.3%)이 최고가로 거래됐다.
최고가 거래는 이달부터 적용될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과 새 정부의 정책에 따른 기대 심리 속에 집값 상승세가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에 이어 마포, 용산, 성동 등 이른바 '한강 벨트' 지역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이런 분위기는 6·27 대출 규제 발표가 나오면서 급랭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는 6·27 대출 규제 발표 후 2주간(6월 27일~7월 10일) 거래량은 1312건으로 크게 줄었고, 같은 기간 최고가 거래도 300건(22.9%)으로 대책 발표 전의 2주 대비 74% 급감했다. 대출 규제 발표 전 2주 간 최고가 거래량이 139건으로 가장 많았던 성동구는 이후 22건으로 84% 줄었다.특히 마포래미안푸르지오3단지, 공덕자이, 옥수파크힐스, 래미안고덕 등 주요 단지들은 대책 후 최고가 거래가 끊겼다.
마포구는 최고가 거래량이 18건으로 이전 대비 87%가량, 강동구는 최고가 거래량이 23건으로 80%, 강남구는 112건 →41건으로 63% 줄었고, 서초구는 37건 → 9건, 송파구도 64건 → 27건 등 강남3구가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그 외 지역에서도 최고가 거래는 감소했다. 동작구(85건->15건), 영등포구(82건->18건), 광진구(50건->16건), 강서구(34건->16건), 동대문구(30건->4건) 등 최고가 거래량이 줄었다. 전방위적인 대출규제로 투자심리뿐 아니라 실수요자 또한 관망세로 돌아서며 이들 지역 또한 최고가 거래량이 감소한 것으로 보여진다.
직방 관계자는 "아직 거래량만으로 시장 흐름을 단정하기에는 이르지만 서울·수도권 주택시장의 전반적 분위기는 짙은 관망세에 접어든 모습"이라며 "규제 강도가 높아진 서울 강남권이나 정비사업 중심지 수요가 상대적으로 덜 규제된 지역으로 일부 분산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덧붙여서 “이번 정책은 별도의 사전 예고 없이 발표 즉시 시행된 만큼, 정책의 예측 불가능성 자체가 향후 시장 변동성을 키우는 주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수요자 입장에서는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사전에 자금 계획을 점검하고, 불확실성에 대비한 전략 마련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