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탈석탄동맹' 가입...국제사회와 탈탄소 전환 비전 공유
韓 정부,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계획 국제사회에 공표
[중앙뉴스= 윤장섭 기자]한국 정부가 싱가포르에 이어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탈석탄동맹’(PPCA)에 가입했다.
한국 정부대표단은 17일(현지시간) 브라질 벨렝에서 열린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 참석해 탈석탄동맹에 가입했다고 밝혔다.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정부대표단은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2018년 대비 53~ 61%까지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김성환 기후부 장관은 18일 밤 12시(현지시각 낮 12시)에 브라질 벨렝에서 열린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고위급회의에 참석해 한국 정부가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대한 계획을 국제사회에 발표했다. 한국은 2018년 대비 53%~61% 감축목표를 토대로 2050년 탄소중립을 이행하고 탈탄소 녹색 전환을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한국 정부는 전날 오후 9시(현지시각 오전 9시)에 석탄발전의 단계적 폐지 달성을 목표로 하는 국제협력 이니셔티브인 탈석탄동맹(Powering Past Coal Alliance, PPCA)에 동참을 선언하기도 했다. PPCA는 석탄발전의 단계적 폐지를 목표로 정책교류, 기술적 지원 등 실질적 협력 플랫폼을 제공한다. 현재 정부와 기업, 지방정부를 포함한 180여 개 회원이 참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충청남도와 경기도 등 8개 지방정부가 가입한 바 있다.
지난 2017년 출범한 탈석탄동맹은 석탄화력발전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전 세계 60여 개 나라 등이 참여하고 있다. 현재 한국이 운영하는 석탄화력발전소 설비용량은 세계 7위 수준으로 한국은 온실가스 저감 장치가 없는 석탄화력발전소를 새로 짓지 않고, 운영 중인 석탄화력발전소 중 40기는 2040년까지 폐쇄하기로 했다.
PPCA에 따르면, 지구의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전보다 2.0도 이하로 제안하고, 1.5도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유럽연합 회원국은 늦어도 2030년까지, 나머지 국가는 2040년까지 탈석탄을 이뤄야 한다.
김 장관은 한국 정부의 ‘탈석탄동맹’(PPCA)가입은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기업 경쟁력을 높이며, 미래 산업에서 수천 개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날 김 장관은 오후 10시 30분(현지시각 오전 10시 30분)에 기후·청정에너지 전환 포럼에 참석해 주요국 장관과 재생에너지 중심의 탈탄소 전환에 대해 정책 비전을 공유했다. 이 행사는 지난 제28차 당사국총회에서 합의된 ‘전 지구적 재생에너지 발전용량 3배, 에너지 효율 2배’의 이행을 앞당기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기후부와 한국에너지공단이 함께 개최했다.
행사에서는 △호주의 크리스 보웬 기후변화·에너지·환경·수자원부 장관 △포르투갈의 장 바호카 에너지부 차관 △덴마크의 올레 톤케 기후대사가 발표 시간에 참여해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전환을 통한 전 지구적 탄소중립 달성’을 주제로 대담을 펼쳤다.
김 장관은 점점 복잡해지는 전 지구적 차원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무치랑(Mutirao, 공동협력)’ 정신을 바탕으로 다자주의에 기반을 두고 기후위기에 대응할 것을 국제사회에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