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총선결과를 접한 정치인과 언론인들은 경악을 금치 못했다.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여소야대가 되었기 때문이다. 더민주가 극심한 계파싸움으로 안철수 분당에 이르는 과정을 겪으며 친노와 비노는 완전히 갈라진 것으로 보였다.

 

국민의 여론은 극도로 나빠졌고 한 때 새누리당이 개헌선을 넘을 것이라는 섣부른 예측이 나오기도 했다. 그만큼 상황은 야당에 불리했다. 그러나 세상일은 알고도 모를 일이다. 자만에 빠진 새누리당은 친박과 비박의 천박한 싸움으로 날을 샜다. 유승민은 이 와중에 대단한 인물로 부각되며 정의의 사도가 되었다. 정치판에서 전가의 보도는 여론조사다.

 

총선을 계기로 여론조사의 허구성이 드러났지만 앞으로도 이 관행은 쉽게 깨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것이 가장 객관적인 통계라고 생각하는 마성에 걸려있기 때문이다.

 

유승민은 선거구에서의 여론조사에서 맨 앞자리였다. 그가 대통령 배신자로 낙인찍혀 도저히 공천할 형편이 아니라면 거침없이 컷오프시켜야 했다. 잠시 술렁거렸겠지만 파장은 그것으로 끝난다. 공천권을 쥔 공천관리위가 탈락을 기정사실화시켜 놓고도 자진탈당을 바라며 질질 끌다가 친박 비박의 분열이 극대화되고 김무성의 옥새파동까지 나오며 최악의 경지로 치달은 것이 국민의 마음을 뒤집어버렸다. 절대적지지 세력으로 보였던 영남과 보수우익들이 아예 투표를 기피했다.

 

새누리당의 참패는 야당의 선전(善戰)이나 국민의 참다운 여론과는 아무 상관도 없다. 추잡한 계파싸움에 진절머리를 냈기 때문이다. 이 와중에 최대 수혜자는 안철수다. 정치에 뛰어든 이후 양보와 사퇴를 거듭한다고 해서 그의 이름을 빗댄 ‘철수정치’로 조롱받던 그가 이번에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국민의당을 창당했다.

 

수요가 많으면 공급자는 수지를 맞춘다. 선거가 코앞에 닥친 출마 희망자들은 새로운 정당인 국민의당으로 대거 몰려들 수밖에 없었다. 지난번 대선에서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던 문재인은 호남의 배신자로 몰리며 절대적인 기피대상자로 전락했다. 이 틈을 노려 안철수가 파고들었다.

 

호남출신 야당의원들이 대거 탈당 후 국민의당에 합류했다. 국민의당이 상당한 의석을 획득할 것이라는 예상은 했지만 38석은 망외의 소득이다. 게다가 더민주가 수도권을 석권하고 새누리당의 텃밭인 영남에서도 상당한 의석을 획득하는 통에 여당인 새누리당은 제1당의 위상을 더민주에 빼앗기는 수모를 당했다.

 

이에 대하여 여당을 아끼던 사람들도 쾌재를 부를 만큼 민심이반이 심각했음을 새누리당은 아직도 깨닫지 못하고 있다.여소야대의 정국이 형성되면 어느 나라에서나 연립정권으로 정국을 안정시킨다.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고 민생에 대한 두려움을 불식시키기 위해서 집권자는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연정을 펴야만 한다.

 

김대중은 도저히 함께 하기 어려운 김종필을 끌어들여 권력을 나눠주며 IMF를 극복하는데 전력투구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벌었다. 일본에서는 보수정당이 사회당과 합작하는 연정도 드물지 않다.

 

박근혜의 임기는 이제 1년 9개월 남았다. 여소야대 하에서 국민의;당과 연정을 펼치면 몰라도 정국운영에 상당한 애로가 예상된다. 진영이 무너지면 장수들도 흔들린다. 박정부 진영에서 장수라면 청와대비서진과 내각을 거머쥔 장관들이다. 그들에게는 대통령의 권력기반이 확고할 때 충성을 다하지 조금이라도 흔들리면 슬그머니 돌아서는 관성이 있다. 레임덕에 가장 민감하다.

 

박근혜는 정치의 비정함을 누구보다도 잘 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정을 거부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유연한 정치를 펼 수 있도록 닫힌 마음을 풀어줄만한 직언을 할 주변인물도 있는 것 같지 않다. 옹고집은 소신과 거리 멀다. 지금 우리나라는 많은 어려움에 빠져있다. 핵으로 위협하는 북한은 언제 치명적인 도발을 해올지 아무도 모른다.

 

대화를 제의하는 김정은의 목소리에는 진정성이 없다. 국내경제는 경기가 살아나지 않는다. 만성적인 청년실업과 해운업계의 비정상적인 운영은 부도직전이다. 공적자금으로 명맥을 유지하는 회사의 CEO들은 제주머니 채우는 데는 귀신보다 빠르다. 온갖 복지문제와 노동계의 투쟁도 발목을 잡는다. 이를 극복하는 지혜로운 정국운영을 하려면 연정이 필수적이다.

 

이런 와중에 정의화와 반기문이 대선전선에 뛰어들며 화제를 낳는다. 반기문은 외교관 출신으로 정치와는 거리가 멀지만 충청권을 대표하며 인기순위 1위다. 그가 나서려면 새누리당에서 전폭적으로 추대하느냐 여부에 달려 있지만 극심한 계파싸움을 중단하고 박근혜의 낙점이 있으면 가능할 것이다. 19대 국회의장을 끝으로 은퇴할 것으로 보였던 정의화는 소신을 주무기로 의장직을 잘 마무리했다.

 

그는 민족의 미래를 구상하는 싱크탱크를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현실에 안주하거나 눈치만보는 정치인들 사이에 보기 드문 뚝심과 소신을 보여준 정치인답다. 그의 대권도전의 길은 험난할 것이다. 친정인 새누리당을 버리고 새로운 정당을 만들어야 할 것이고 총선이라는 수요가 없는 짧은 시간에 전국정당으로 탈바꿈해야 하는 난제가 가로막는다.

 

도전은 늦은 출발만큼 과감하고 적극적이지 않으면 성공하기 어렵다. 철저한 자기희생으로 다른 정치인과의 차별성을 보여야 한다. 구태의연한 방법으로는 국민의 실망감만 부추길 가능성이 크다. 국회의장을 지냈다는 기득권을 버리고 정치신인의 자세와 각오를 보일 때 정의화의 미래는 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