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러도 혈맹관계
중국의 뒷배 역할 부족
러시아의 풍부한 비핵화 협상 경험

[중앙뉴스=박효영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첫 만남에서 주로 강조된 것은 관계 다지기와 비핵화 문제 해결 등 두 가지였다.

김 위원장은 우리 시간으로 25일 13시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극동 연방대에서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고 “조로(북러) 친선 관계 발전과 조선반도 및 지역의 평화 안전 보장을 위한 문제들 그리고 공동의 관심사로 되는 국제적 문제에 대하여 허심탄회하고 의미있는 대화를 나눴다”고 연설했다. 

이어 “두 나라 인민은 일찍이 지난 세기 항일 대전의 공동의 투쟁 속에서 전우의 정으로 굳게 결합됐고 장병들은 조선의 해방을 위하여 자신들의 피를 아낌없이 바쳤다”며 북중 혈맹관계 못지 않은 친밀감을 부각했다. 

김정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러시아 크렘린궁)

이에 푸틴 대통령은 “김정은 동지의 여러 활동 덕에 최근 몇 개월 동안 한반도 상황이 안정화됐다. (김 위원장과의) 오늘 회담도 건설적이고 실무적이고 양국 관계에 전형적인 우호적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고 화답했다.

푸틴 대통령은 비핵화 문제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길게 설명했다.

이를테면 “(비핵화 문제는) 평화적 해결 외에 대안이 없다는 게 우리의 입장이다. 러시아는 한반도 긴장 완화와 동북아 지역 전체 안보 강화를 위한 협력을 지속할 준비가 돼 있다. 러시아는 (한반도 문제의) 정치외교적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미국과의 직접 대화 구축과 남북한 관계 정상화를 위한 북한 지도부의 행보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우리는 어려운 국제환경 속에서 이 기념일(북러 수교 70주년)을 맞았다”면서도 “한국의 속담에 힘을 합치면 산도 옮길 수 있다는 말이 있다. 바로 여기에 성공의 담보가 있다고 확신한다. 국제사회와 관계국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우리는 견고한 평화와 안정, 한반도의 번영 확보를 위한 목표를 반드시 달성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두 정상은 관계 모색과 비핵화 문제 해결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러시아 크렘린궁)

김 위원장이 부친인 故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이후 17년 만에 푸틴 대통령을 만난 이유가 있다.

25일 방송된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조성렬 자문연구위원(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김 위원장이) 중국을 네 차례 방문해서 시진핑 주석을 네 번 만났고 특히 세 번째 만났을 때는 하나의 참모부로서 중국이 비핵화 과정에서 북한의 뒷배를 봐줄 것으로 기대했었다”면서 그럼에도 “실제로 작년 7월부터 미중 무역 전쟁이 터진 이후 중국이 사실상 뒤로 한 발 물러섰다. 그래서 지금까지 중국이 북한을 위한 제재 완화나 체제 안전을 위해 미국을 여러 차례 만났지만 자기 목소리를 내지 못 했다”고 밝혔다.

이어 “실제로 미국과 맞짱뜨는 나라는 북한이 쭉 보니까 중국보다는 러시아가 더 센 것 같다는 이런 생각을 한 것 같다”고 관측했다.

같이 출연한 제성훈 교수(한국 외국어대 러시아어과)는 푸틴 대통령의 관점에서 설명했다. 

제 교수는 “작년 2월부터 시작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서 러시아 패싱이라고 할까. 러시아가 좀 소외됐다. 러시아가 분명한 역할을 찾기가 조금 어려웠던 점도 있다. 러시아가 조금 초조해한 것은 사실인 것 같다. 이대로 한반도 비핵화 문제에서 자신의 역할이 영영 없어지는 것은 아닌가 고민을 했는데 작년 5월 라브로프 외무장관이 북한을 방문해서 푸틴 대통령의 초청 의사를 전달했다”고 말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 양국 대표단이 25일 오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루스키섬 극동연방대학에서 열린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2019.4.25 [크렘린궁 홈페이지 제공]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 등 양국 대표단이 확대회담을 진행했다. (사진=러시아 크렘린궁)

경제적 동기가 빠질 수 없다.

제 교수는 “극동 지역이 러시아 영토의 40%나 되는 넓은 지역인데 인구가 700만명 밖에 안 된다. 그 밑에 있는 중국 동북삼성은 인구가 1억명이고 일본도 1억3000만명 정도 되고 이러다 보니까 극동 지역을 미개발 저개발 지역으로 그대로 남겨두면 안보적인 취약성이 드러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한반도 문제의 해법으로 쌍중단(북한의 핵 미사일 활동과 한미 연합훈련을 동시 중단)과 쌍궤병행(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와 북미 평화협정 체제 협상 병행)을 제안했고 이는 크게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중국을 네 번이나 방문했다. 러시아도 북핵 해법을 갖고 있었지만 공개할 기회가 없었다.

조 위원은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2017년 당시) 처음으로 북핵 해법을 제안한 적이 있다. 러시아식 3단계 해법이다. 그런데 그때만 해도 러시아가 독자적으로 발언권이 별로 없으니까 2017년 7월 베이징에서 중국 왕이 외교부장과 공동 발표를 한다. 러시아식 비핵화 해법인데 (북한에게 제안하기로는) 작은 해법 가지고는 절충안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실제로 미국과 핵 협상을 한 나라는 세계에서 러시아 밖에 없다. 냉전 시대에도 그렇고. 과거 6자 회담에서부터 쭉 다뤄왔고 20년 가까이 집권했기 때문에 아마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한테 직접 설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두 정상이 회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러시아 크렘린궁)
두 정상이 회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러시아 크렘린궁)

조 위원은 러시아 모델과 관련 좀 더 구체적으로 △북한의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에 대한 북러 공동관리 방안 △단계적 핵 감축에 대한 국제적 공동 방안 △옛날 영변 핵 시설 폐기를 제공하기 보다 전략 핵무기 감축 협상에 집중 등이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2월 하노이 회담에서 미국의 극심한 압박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조 위원은 “(푸틴 대통령의 6자 회담 아이디어가 제안된다면 김 위원장이나 트럼프 대통령이) 받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면서도 “일단 북한 입장에서 자기 뒷배를 확보한다는 의미가 있다. 중국이나 러시아가 (6자 회담 테이블에) 와서 협상하면 미국이 지금처럼 북한에 일방적인 압박을 하기는 어려워진다”고 내다봤다. 

한편, 이날 정상회담은 단독회담 →확대회담 →만찬 순으로 진행됐다. 두 정상은 만찬 직전 선물로 칼을 주고 받았고 그 의미를 설명했다.

만찬 헤드테이블에는 두 정상과 함께 북측은 리용호 외무상·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이 앉았고, 러시아 측에서는 유리 트루트녜프 부총리·라브로프 외무장관·유리 우샤코프 대통령 외교담당 보좌관 등이 자리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