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 활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안 토론회

[중앙뉴스=박광원 기자]‘4차 산업혁명 시대, 실내 미세먼지 관리 이대로 좋은가?’라는 주제로 실내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도입을 위한 토론회가 18일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송옥주, 이용득 의원 공동주최로 진행되었다.

국회의원회관에서 18일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 활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안 토론회를 가졌다.(사진=서영교 의원실)
국회의원회관에서 18일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 활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안 토론회를 가졌다.(사진=서영교 의원실)

이번 토론회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실내 공간의 미세먼지 관리는 아직도 기존방식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미세먼지 민감계층이 주로 활동하는 학교, 유치원, 병원, 공공장소 등 다중이용시설은 국민건강보호를 위한 지속적이고 복합적인 공기질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대안으로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관리 정책 등이 제시되었다.

서영교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최근 몇 년간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가 커졌고, 실내 공간의 미세먼지와 공기질 관리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으나, 관리 방식은 아직 이전에 머물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시대 IoT사물인터넷 등 기술을 적극 활용한 실내 공간의 미세먼지 및 공기질 전반에 대한 관리 강화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국민들의 건강 보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경기정보산업협회 양재수 협회장이 좌장으로 진행한 토론회에는 미세먼지 영향을 연구하는 학계의 주제발표와 실내 공기질 정책을 담당하는 환경부, 학생 건강정책을 담당하는 교육부 관계자 및 학부모 대표, KT등ICT 기반 공기질 사업을 진행하는 업계 등 실내 미세먼지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패널토론이 진행되었다.

이날 토론에서는 일상 생활 중 60~80%이상 머무는 실내 공간의 미세먼지 및 공기질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매년 심화되는 국민들의 미세먼지 등 공기질 우려와 달리 과거에 머물러 있는 실내 미세먼지 관리 방식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현재 다중이용시설의 실내 공기질 측정은 연 1회 정도에 그치고 있고 지자체가 시행하는 단속, 측정은 전체 대상 중 10% 미만에 머물고 있으며, 측정값 부실관리 등 우려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학교보건법에 따라 교실 내 미세먼지 측정기기 설치가 의무화 되는 등 실내 공기질 관리 강화 방안이 도입되고 있지만, 아직 측정과 관리 방식이 과거 방식에 머물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제기되었다.

사물인터넷(IoT)기반 공기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KT는 최근 교육청, 어린이집 도입 사례를 제시하며, 실내 미세먼지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발표했다. KT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실외 미세먼지 수치가 높을 때는 학교 교실 등 실내 미세먼지 수치도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의 수치도 유지 관리 기준치를 넘는 높은 수준으로 상시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다중이용시설, 특히 학교, 어린이집, 병원, 공공시설 등 건강 민감계층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에서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CO2),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 종합적인 공기질 관리가 필요하며,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와 같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기술을 활용한 선진적 관리 방식 도입 등 강화된 정책 도입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또한, 더 나아가 앞으로는 블록체인 기반 측정값 관리 및 전국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 중앙종합관리 등 발전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서영교의원은 “실내 공기질의 경우 어린이와 노약자등과 같이 실내에서 머무는 시간이 많은 취약계층에게 더욱 위험하다”고 지적하며, “오늘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들과 정책 대안들을 반영해 법안개정을 비롯해 제도 개선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