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분야 시작단계...국토부 적극 지원

[중앙뉴스=김수진 기자]미국을 방문중인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은 도심항공모빌리티가 2028년께 국내와 해외에서 상용화될 것으로 전망했다.정의선 수석부회장은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호텔에서 CES 2020 미디어데이 행사를 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수석부회장(왼쪽)이 6일(현지시간) CES 2020 현대차 미디어 행사'가 열린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에서 인간 중심의 역동적 미래도시 구현을 위한 혁신적 미래 모빌리티 비전을 공개하고 있다. 오른쪽은 '현대차 미디어 행사' 진행을 맡은 로라 슈워츠(사진=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수석부회장(왼쪽)이 6일(현지시간) CES 2020 현대차 미디어 행사'가 열린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에서 인간 중심의 역동적 미래도시 구현을 위한 혁신적 미래 모빌리티 비전을 공개하고 있다. 오른쪽은 '현대차 미디어 행사' 진행을 맡은 로라 슈워츠(사진=현대차그룹 제공)

정의선 수석부회장은 UAM 상용화 시점에 관한 질문에 "2028년쯤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해외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같이 할 계획"이라며 "한국에서 법규나 이런 것들이 같이 가야 하기 때문에 계속 정부 쪽하고 얘기해야겠죠"라고 말했다.

정 수석부회장은 지난해 11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모빌리티 이노베이터스 포럼(MIF) 2019'에서 2029년부터 개인항공기(PAV) 상용화 서비스가 목표라고 말했다.

이날 밝힌 상용화 일정은 지난해 11월에 비해 1년 앞당겨진 것이다. 당시 우버의 2023년 플라잉택시 상용화 목표와 관련해선 "개인적으로 쉽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법과 제도가 제대로 갖춰지는 데도 시간이 걸린다"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LA에 모빌리티 실증 사업법인 모션랩을 설립했다. 최근 첫 실증사업으로 카셰어링 서비스 '모션 카셰어'를 시작했으며 이후 다중 모빌리티서비스부터 도심항공모빌리티까지 다양한 실험을 계획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이날 CES 미디어데이에서 인간중심 미래 모빌리티 비전을 제시했다.

역동적인 미래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목적기반모빌리티(PBV)- 모빌리티 환승거점(허브)'을 제시했다. 그는 "모빌리티 분야에서 아직 시작단계이기 때문에 경쟁사와 비교해서 장단점을 지금 얘기할 수는 없다"며 "각자 전략이 있기 때문에 4∼5년쯤 지나봐야 알 것 같다"고 덧붙였다.

정의선 부회장 개인항공기 2028년 상용화 시대 열갰다.

차세대 브랜드 비전인 '인류를 위한 진보'를 가속화하고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것이 현대차의 구상으로 도심항공모빌리티(UAM)는 '개인용 비행체'(PAV· Private Air Vehicle)를 기반으로 하늘을 새로운 이동 통로로 이용하는 서비스다.

목적기반모빌리티(PBV)란 지상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동안 승객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친환경 이동 솔루션이다. 허브는 UAM과 PBV를 고객에게 연결하는 공간이면서 사람들이 교류하는 장의 역할을 한다.

현대차는 우버와 협업해 처음 개발한 PAV 콘셉트 모델 'S-A1'을 실물 크기로 7일부터 CES 전시관에서 공개한다.

정의선 수석 부회장은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서 현대차의 위상이나 목표와 관련해서는 "투자도 많이 하고 좋은 파트너들도 만났다"며 "더 훌륭한 인력들이 많이 들어와서 고객들한테 편한 것을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상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은 현대차 미디어데이 후 기자들과 만나 "정부도 UAM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지난해에 미래드론교통과 신설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올해를 UAM 실현을 위해 중요한 해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이어 "업계에서는 2023년 시제기 개발, 2029년 상용화로 보고 있는데 이를 위해 기체개발 인증과 운영을 위한 관제 등 인프라를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기체개발과 관련해선 올해 5월에 드론법이 발효되면 드론 자유화 구역을 지정해서 기체개발 후 테스트를 자유롭게 할 수 있게 하겠다고 김 실장은 설명했다.

관제 공역(하늘길 항로 설정)인증 등과 관련해선 5월에 드론교통 5개년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실장은 "일부 외국 업체가 기술적인 측면에서 시험도 하고 있어서 한국이 조금 늦었다고 볼 수 있지만 외국에서도 인증이 끝나지도 않았고 제도 뒷받침도 필요하므로 늦은 것도 아니라고 본다"고 밝혔다. 미국과 유럽 등에서도 현재 기체개발에 집중하는 단계로, 현대차도 200여개 업체 중 하나라고 그는 부연했다.

그는 "상용화는 안전성 문제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외국정부도 신중하게 보는 것 같다"며 "미국, 유럽연합, 유엔 등 항공당국들과 협업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UAM이 업계 노력만으로 실현될 수 없고 정부 지원이 필요한 분야이므로 출발은 늦어도 더 빨리 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을 알려주고자 CES 현장에 왔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UAM은 교통 체증이 유발하는 문제를 줄이고 혁신동력 일자리를 창출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