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선 여객 96% 급감…항공업계 ‘실업대란’ 눈 앞
항공업계 “남은 건 정부 기간산업 지원책 뿐”
전경련 “수출 타격 우려...항공업계·수출기업 지원 서둘러야”

이스타항공은 최근 1∼2년차 수습 부기장 80여명에게 계약해지를 통보한 데 이어 직원의 절반 가까운 45%에 해당하는 750명을 희망퇴직과 정리해고 등을 통해 구조조정 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사진=이스타항공)
이스타항공은 최근 1∼2년차 수습 부기장 80여명에게 계약해지를 통보한 데 이어 직원의 절반 가까운 45%에 해당하는 750명을 희망퇴직과 정리해고 등을 통해 구조조정 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사진=이스타항공)

[중앙뉴스=우정호 기자] 코로나19 확산에 항공업계가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존폐위기’라는 표현까지 나올 만큼 심각해지고 있다.

사실상 항공기 운항이 중단되면서 국제선 여객수가 작년 대비 96%가 급감하는 등 국내 항공산업이 붕괴 직전까지 내몰렸다.

항공업계는 현재 매월 9000억원 이상의 고정비가 적자로 쌓이고 있으며 연내 만기가 도래하는 부채만 5조3000억원을 넘는다.

이에 정부가 추가 지원책을 시급히 내놔야 한다는 목소리가 여행·항공업계를 중심으로 거세지고 있다. 항공업계에선 무담보 저리대출 확대와 정부의 채권 지급보증, 세금감면 지원을 호소하고 있어 정부의 대응이 주목된다.

국제선 여객 96% 급감…항공업계 ‘실업대란’ 눈 앞

7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3월 넷째 주 국제선 여객 수는 7만8599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173만6366명)에 비해 95.5% 급감했다. 지난달 국내·국제선 항공여객 수는 174만3583명으로 1997년 1월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200만명 이하로 떨어졌다.

아울러 국적 항공사 여객기 374대 중 87%인 324대는 갈 곳이 없어 주기장에 서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항공협회가 이런 국적 항공사의 국제선 운송 실적을 기준으로 피해 규모를 산출한 결과, 올해 상반기 국적 항공사의 매출 피해 예상액은 최소 6451억원에 달한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항공업계는 이미 구조조정 수순에 들어갔다. 이스타항공은 최근 1∼2년차 수습 부기장 80여명에게 계약해지를 통보한 데 이어 직원의 절반 가까운 45%에 해당하는 750명을 희망퇴직과 정리해고 등을 통해 구조조정 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기내식과 청소 등을 담당하는 항공사 협력업체 역시 직격탄을 맞았다. 대한항공의 기내식 협력업체 직원 가운데 인천에서 근무하는 1800명 중 1000명이 권고사직을 요청받았고, 그나마 남은 800명 중에서도 300여명은 휴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내 청소를 담당하는 EK맨파워는 최근 단기계약직 52명을 정리해고했다. 아울러 정규직 300여명에 대해서도 추가 해고를 검토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 협력업체인 아시아나KO는 다음달부터 무기한 무급휴직에 들어갔고, 아시아나AH는 직원 절반에 희망퇴직을 통보했다.

국내 항공산업과 연관산업 종사자 규모만 84만명에 달한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저비용항공사는 물론이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까지 위험에 직면한 상황에 항공 산업이 붕괴하면 실업대란이 불가피하다.

7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3월 넷째 주 국제선 여객 수는 7만8599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173만6366명)에 비해 95.5% 급감했다. (사진=중앙뉴스 DB)
7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3월 넷째 주 국제선 여객 수는 7만8599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173만6366명)에 비해 95.5% 급감했다. (사진=중앙뉴스 DB)

항공업계 “남은 건 정부 기간산업 지원책 뿐”

상황이 악화일로로 치닫자 항공사들은 정부에 무담보 저리 대출 확대와 채권의 정부 지급보증 등 대규모 정책자금 지원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항공업계 특성상 영업비용 중 고정비 비중이 35∼40%를 차지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항공사는 보유한 현금을 까먹으며 버티고 있다. 영업비용과 이자비용 등을 감안할 때 대한항공은 월평균 8800억원, 아시아나항공 4900억원, 제주항공 1000억원 정도의 현금 유출이 있는 것으로 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항공업계는 미국, 유럽과 같은 대규모 금융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국항공협회는 3일 '한공산업 생존을 위한 호소문'을 통해 "수입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매월 9000억원의 고정비가 적자로 쌓이면서 연내 만기가 도래하는 부채가 5조3000억원에 이른다"며 "항공사 임직원 모두가 생존을 걱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해외의 사례를 들며 미국은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항공업계에 580억달러(74조원) 규모의 보조금 및 대출지원을 결정했으며 독일도 국적기 금융지원을 무한대로 설정하는 등 대다구 국가들이 항공산업 파산 방지에 나선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국토부는 앞서 2월17일과 3월18일 두 차례에 걸쳐 운수권·슬롯 회수 유예, 공항사용료·과징금 납부유예, 저비용항공사(LCC)에 대한 산업은행의 3000억원 금융지원 등의 대책을 발표했다.

하지만 당장 항공기 운항 대수가 줄어든 상황에서 사용료 감면이나 유예가 크게 도움될 지는 미지수다. 3000억원의 긴급 유동성 지원도 대형항공사까지 포함할 경우 매우 부족한 규모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정부는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까지 지원을 확대할 경우 대기업 특혜 시비에 휘말릴 수 있다는 판단에서 항공사의 자구노력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개진하고 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지난 3일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국민 경제적으로 중요한 기간산업이 이번 위기를 헤쳐 나가는 데 필요한 다양한 정책지원 방안들을 검토하고 있다"며 기간산업에 대한 정부 지원을 시사했다.

금융위원회도 6일 시장점검회의를 통해 대기업 가운데 우선 난관에 봉착한 항공업의 경영 현황을 살펴보고 있으며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 필요한 조치들을 점검하고 있다며 항공산업 지원 계획을 밝혔다.

(사진=중앙뉴스 DB)
(사진=중앙뉴스 DB)

전경련 “수출 타격 우려...항공업계·수출기업 지원 서둘러야” 

이 가운데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도 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항공 운송망이 훼손돼 수출 타격이 우려된다며 항공업계와 수출기업에 대한 지원을 촉구했다.

전경련은 이날 '코로나19 후 항공화물 운송 감소현황과 시사점' 자료를 통해 "코로나19 여파로 생산 공장 셧다운과 더불어 생산품을 수송하는 여객기·화물기 운항이 축소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전경련은 수출 기업들이 항공기 운항 급감으로 인한 운임 인상과 운송 지연 증가로 인한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며 "특히 10대 수출품 등 고부가 가치 제품들은 항공 운송 이용이 많아 수출에 더 치명적"이라고 강조했다.

전경련은 글로벌 물류회사 어질리티 로지스틱스 통계를 인용해 한국발 화물기 운항 축소로 화물 적재량이 유럽·미국 등 전 노선에서 50∼60% 감소했고, 여객기 운항 축소로 감소한 화물 적재량이 90∼100%에 달한다고 소개했다.

국제 항공화물 운임 역시 상하이∼북미 구간의 운임지수가 2월 다섯째 주 3.04(달러/㎏)에서 지난달 넷째 주 6.59로 2배 이상 올라 이 지수가 생긴 2016년 이후 최고가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우리 정부도 저비용항공사(LCC) 대상 3천억원 규모의 긴급융자 등 내용이 담긴 대책을 발표했지만, 업계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보다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라며 "항공업계에 대한 금융·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