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無)보증금, 이사비·생필품 지원, 입주 후 자활‧돌봄 등 사후관리
올해는 대상자 발굴지역 기존 5개→9개 자치구 확대…반지하 주택 거주자도 지원

‘집 아닌 집’에서 살아가고 있던 1,241명이 서울시 공공임대주택으로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았다 (사진=중앙뉴스DB)
‘집 아닌 집’에서 살던 1,241명이 서울시 공공임대주택으로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았다 (사진=중앙뉴스DB)

[중앙뉴스=신현지 기자] 사업실패와 이혼으로 고시원을 전전하던 공모씨(59세)는 공공임대주택 입주를 지원해준다는 서울시의 '주거상향 지원사업' 안내문을 보고 주거복지센터를 찾았다가 작년 10월 서울시의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했다. 센터는 K씨의 생계급여 신청도 지원해줬다. 이에  공모씨는 “보금자리의 꿈을 이뤘으니 이제 다시 일어서서 차곡차곡 월급을 저축해 잘 살아보겠다”고 삶의 의욕을 전했다.

지하창고를 개조해 힘겹게 생계를 이어가던 강모씨(65세)도  날씨가 추워지기 전에 이사를 가고 싶었지만 보증금도 없고 지원방법도 몰라 00노인종합복지관에 도움을 요청했다. 복지관은 주거복지센터로 K씨를 연결해줬고 센터는 K씨가 즉시 주거이전이 필요하다고 판단,  강모씨가 원했던 1층 주택으로 이사할 수 있게 도왔다. 이사 전 도배‧장판도 깨끗하게 교체했다.  강모씨는 “지옥에서 천당으로 온 기분”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이처럼 고시원, 쪽방 등 최후의 주거전선으로 내몰려 ‘집 아닌 집’에서 살아가고 있던 1,241명이 서울시 공공임대주택으로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았다. 461명은 작년 입주를 완료했고, 780명은 입주를 앞두고 있다. 이번 지원은 비주택 거주자 등 주거취약계층을 발굴해 공공임대주택 입주 전 과정을 지원하는 서울시의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을 통해 이뤄진 첫 결실로 작년 4월 시작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서비스는 상담을 통해 공공임대주택 입주지원 기준에 부합하는 대상자를 적극 발굴하고, 이주할 공동임대주택 물색, 입주신청 같은 절차를 지원한다. 무(無) 보증금과 이사비‧생필품 지원으로 경제적 부담도 덜어준다.

또한 작년 3월부터 찾아가는 상담을 통한 직접 발굴, 복지관 등 관련 기관 연계 등 다양한 방식을 동시에 활용해 비주택 거주자 12,174명을 상담했다. 이중 임대주택 입주를 희망하고 입주지원 기준에도 부합하는 1,241명을 찾아내 대상자를 확정했다.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한 이후에도 이들이 새로운 보금자리에서 삶에 대한 자신감을 되찾고 완전히 정착할 때까지 사후관리에도 나서고 있다. 가스비‧전기료 할인 등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안내해주거나 필요한 자활‧돌봄서비스를 연계해줬다.

아울러 올해부터 대상자 발굴지역도 총 9곳으로 확대하고, 반지하 주택 거주자도 포함시켜 지원강도를 높이기로 했다. 대상자 발굴지역을 기존 비주택 밀집지역 5곳(중구‧용산구‧동작구‧관악구‧구로구)에 더해 주거취약계층의 거주비율이 높은 4곳(성북구‧노원구‧광진구‧금천구)을 추가해 총 9곳으로 확대한다. 

또 작년 하반기부터 기존 비주택 유형뿐 아니라 주거환경이 열악한 반지하 주택도 본인이 원할 경우 지원하고 있다. 지원은 ①대상자 발굴 ②주택물색 및 이주지원 ③공공임대주택 입주 ④주거안정을 위한 사후관리 등 전 단계에 걸쳐 수요자 맞춤형으로 이뤄진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건축본부장은 “주거상향 지원사업은 최저주거전선에 내몰려 고시원, 쪽방, 여인숙, 반지하 같은 곳에서 힘겹게 살아가는 주거취약계층이 집다운 집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전 과정을 밀착지원하는 사업”이라며 “비주택이나 반지하에 거주하는 시민들이 주거 빈곤 고리를 끊고 인간다운 주거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