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LG화학․쌍용양회 등 탄소중립과 ESG경영 본격화

 

지난 2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제1차 그린철강위원회’ 출범식 참석자들이 ‘2050 탄소중립 공동선언문’ 서명 후에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지난 2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제1차 그린철강위원회’ 출범식 참석자들이 ‘2050 탄소중립 공동선언문’ 서명 후에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중앙뉴스=김상미 기자] ‘탄소중립’ 선언이 철강·석유화학·시멘트업계의 동참으로 이어지고 있어 주목된다.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으로 손꼽혔던 산업계에서 2050 탄소중립에 동참하려는 움직임이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온실가스 배출 1위인 철강업계를 시작으로 석유화학, 시멘트 업계가 탄소중립 공동선언문에 서명하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체제로 본격화하는 등 탄소 저감에 앞장서는 업종으로 탈바꿈하겠다고 스스로 나선 것이다.

탄소중립은 앞서 정부와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었지만 민간기업들도 참여 폭을 속속 넓히면서 탄소중립에 각 업계가 힘을 모으는 모습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정책브리핑에 따르면, 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KG동부제철·세아제강·심팩 등 국내 6대 철강기업은 지난달 2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그린철강위원회’ 출범식에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며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 

이들 기업은 선언문을 통해 “혁신기술 개발과 생산구조 전환을 통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겠다”며 “단기적으로는 에너지 효율 개선 등을 통해, 중장기적으로는 수소환원제철 기술 등을 개발해 탄소중립 제철소 구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린철강위원회는 업계의 탄소중립 논의를 위해 꾸려진 산학연관 협의체로 철강업계가 탄소중립을 위해 한자리에 모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철강업계는 그동안 온실가스 1위라는 오명 아래 탄소배출을 감축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 중 대표적인 기업이 포스코다. 

포스코는 지난해 12월 아시아 철강사로는 처음으로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한 이후 탄소배출 감축 노력을 자발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세계 4위 철광석 회사인 호주의 FMG와 손잡고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사업을 추진하는가 하면 일상 생활 속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도 병행중이다.

지난달부터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를 ‘일회용 컵 사용 없는 시범빌딩’으로 운영하면서 센터에서 근무하는 모든 임직원은 생활 속 탄소중립을 실천하겠다는 취지에서 일회용 컵 대신 회사가 지급한 텀블러를 사용하고 있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도 시범빌딩 운영 첫날인 1일 텀블러를 가지고 방문한 바 있다.

철강업계의 바통은 석유화학업계가 이어 받았다. 석유화학업계는 지난달 9일 SK환경과학기술연구원에서 석유화학 탄소제로위원회 출범식을 열고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했다. 이날 출범식에는 SK종합화학, 한화토탈, 롯데케미칼, LG화학, 여천 NCC 등이 참석했다.

석유화학은 연간 약 7100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국내 제조업 중에서는 철강에 이어 두 번째로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업종으로 꼽힌다. 원료인 납사의 열분해 과정에서 나오는 부생가스를 연료로 연소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CO2)가 다량으로 발생한다. 

탄소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이지 못하면 기업이 돈을 주고 사야 하는 탄소배출권 부담도 커지는데다 미국·유럽연합(EU) 등 주요 교역국이 앞다퉈 ‘탄소국경세’ 도입까지 추진하고 있어 탄소배출 감축 노력은 더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인 상황이다.  

이같은 흐름속에 LG화학은 지난해 7월 업계 최초로 ‘2050 탄소중립성장’을 선언한데 이어 전체 사업장을 대상으로 RE100을 추진하는 등 탄소중립에 앞장서고 있다. 

LG화학 관계자는 “라텍스 장갑 원료를 생산하는 전남 여수 특수수지 공장과 경기 오산 테크센터는 재생에너지 전력만으로 가동키로 했다”며 “전기차 배터리 소재를 생산하는 충북 청주 양극재 공장도 전기 사용량의 30%를 재생에너지를 통해 조달한다”고 설명했다. 

철강·석유화학업계에 이어 시멘트업계도 ‘2050 탄소중립’에 동참했다. 지난달 17일 시멘트업계는 2050년 탄소중립 추진을 위한 산·학·연·관 협의체인 ‘시멘트그린뉴딜위원회’ 출범식을 열고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출범식에 참석한 쌍용양회·삼표·한일·아세아 등 시멘트업계 7개 대표기업은 “혁신 기술개발과 생산구조 전환을 통해 탄소배출 감축 노력을 하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시멘트 산업은 국내 산업부문 배출의 약 10%에 이르는 연간 약 3900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주원료인 석회석 분해에서 기인한 이산화탄소 배출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연료 소비와 전력 사용에서도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환경오염 산업이라는 오명을 벗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서는 친환경 설비투자를 확대하고 환경 관련 사업에 나설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시멘트 업계 중에서는 1위 쌍용양회가 그 선두에 섰다. 쌍용양회는 올해 국내 업계 최초로 ‘탈석탄 경영’을 선언했다. 시멘트 제조 연료로 유연탄 대신 폐플라스틱을 활용해 오는 2025년까지 현재 유연탄 사용량의 절반 수준인 50만톤으로 줄이고 2030년에는 사용량 ‘제로’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지난해 12월 정관 사업목적에 ▲폐기물 수집 운반업 ▲온실가스 배출권 관련 사업 ▲환경 관련 컨설팅 ▲폐열발전 및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증기·전기 공급 사업 등을 추가하며 친환경 사업 고삐를 조이고 있다. 이현준 대표집행임원을 위원장으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위원회’도 신설했다. 시멘트 업계에서 ESG경영체제를 본격화한 것은 쌍용양회가 처음이다.

쌍용양회는 오는 25일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사명을 쌍용C&E로 변경하는 안건도 상정한다. C&E는 각각 시멘트(Cement)와 환경(Environment)을 뜻하는 영어의 앞글자를 따 시멘트 제조업체에서 벗어나 종합환경기업으로 도약하고 대외 이미지를 개선해 지속 발전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홍사승 쌍용양회 회장은 “시멘트사업을 기반으로 순환자원을 안전하고 완벽하게 재활용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새롭게 환경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나아가 깨끗하고 살기 좋은 미래 환경을 만드는 데 앞장서는 종합환경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