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덩이

이재인 전 경기대 교수/소설가
이재인 전 경기대 교수/소설가

[중앙뉴스=이재인] 애석하게도 박정희 정권하에서 영영 사라진 귀물이 초가지붕이다. 짚을 나래로 엮고 이것을 지붕에 덮고 용고새로 꼭대기 이음매를 덮는다. 바람에 지붕이 날아가지 못하게 새끼줄을 우물정자로 가로 세로 단단히 매둔다.

각 지역에 따라 지붕의 덮개에 새끼줄을 띄는 것이 다르다. 비바람이 심한 해안지역이나 섬에서는 촘촘하게 줄을 맨다. 그것이 바람을 막는 안전장치였다. 대략 2년에 한 번 꼴로 지붕을 나래를 엮어 덮는 게 우리네 관습이었다.

이런 황금 볏짚은 소외양간이나 돼지축사 지붕 위에도 박 덩굴이 사다리를 타고 바알바알 기어오른다. 그 당시 젊은 청년이었던 우리는 끝없이 기어오르는 박 덩굴을 보면서 희망의 전진을 마음에 새기곤 했다.

5‧16군사 혁명 이후 새마을 사업의 일환으로 초가를 슬레이트나 양철로 개량하는 운동을 억세게 밀어붙였다. 지붕 위에 박꽃이 사라졌고, 초가지붕 아래 태어났던 민초들의 혁명은 국가의 이념에 의해 숨죽여야만 했다.그런 세상 속에서 우리는, 언제나 냉철한 두뇌와 따스한 가슴을 가진 관리나 정치가를 기대하고 희망했다.

그런데 번번이 속는 게 국책사업이다. 초가지붕 개량도 그 가운데 하나였다. ‘모두 다’, ‘전부 다’는 민주국가에서는 안 되는 일이다. 민주국가는 다양성에 바탕을 두고 각 개성을 중시해야 한다. 박정희 정권은 농민들은 마음도 욕심도 신념도 없이 슬레이트 지붕, 양철지붕으로 ‘획기적인 혁신’을 수행했다.

그러자 내 누이처럼 순결하고 깨끗한 순정파 박꽃이 피어나던 공간이 하루아침에 사라지고 말았다. 박 덩굴은 높은 자리에서 정갈하게 마디마디 암꽃, 수꽃을 피어냈는데, 그 꽃들을 이제는 볼 수 없게 된 것이다. 초가지붕에서 싹텄던 서민들의 행복은 사라졌고 도란거리는 가족들의 속삭임은 잊혀져 갔다. 우리는 영롱한 흰 빛의 박을 사랑했다.

백의민족의 혈통을 따라 자란 것인지, 박은 흰 빛을 띤 채로 쑥쑥 자랐고 바가지로, 그릇으로 무수히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제는 박꽃도 박도 찾아 볼 수 없게 되었다. 우리 것을 지키고 선양하는 민속학자들의 마음이 시려온다는 말은 그냥 내뱉은 하소연이 아니리라.

무슨 일이든 참고 견디는 게 다 미덕은 아닌 것이다. 순하디 순한 농민들에게 오늘도 바가지는 이제 구경거리가 되었다.농촌의 가을 밤 풀벌레 울어 예는 밤에 박꽃은 다 잠든 가운데, 오직 홍일점이 아닌 청일점으로 하얀 가슴을 연다.

어린 박꽃은 깨끗한 선비의 꽃이요, 가녀린 여성의 살결이다. 박꽃은 아무나 손닿을 수 없는 지붕에서 고고한 이상을 잉태하면서 달빛도 별빛도 끌어안고 희디흰 천의를 펼쳐 보이는 자태에 말로만 찬사를 보내는 게 아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