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임업 통계 연보 등 투명하게 공개”
언론 발표때부터 산림 전체 흡수량 기준...연구 결과에 입장 바꾼 것 아니야

산림청이  언론의 ‘싹쓸이 벌채, 엉뚱한 통계 내놓은 산림청’ 보도와 관련해 반박 입장을 내놓았다 (사진=신현지 기자)
산림청이 언론의 ‘싹쓸이 벌채, 엉뚱한 통계 내놓은 산림청’ 보도와 관련해 반박 입장을 내놓았다 위 사진은 국립산림과학원 내 수목원 전경 (사진=신현지 기자)

[중앙뉴스=신현지 기자] 산림청이 지난 19일 모 언론의 ‘싹쓸이 벌채, 엉뚱한 통계 내놓은 산림청’이라는 기사와 관련하여 사실과 다르다고 입장을 밝혔다.

산림청은 20일 해명자료를 통해 벌채량과 관련해 산림청에서 언론에 제공된  통계자료는 모든 국민에게 공개된 임업통계연보에 나온 자료로 통계를 왜곡했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앞서 19일 모 언론은 “문재인 정부의 ‘2050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산림청이 발표한 ‘늙은 나무’ 대규모 벌목 및 30억 그루 ‘어린나무’ 심기 계획에 논란이 일자 산림청이 현 정부보다 박근혜 정부 때 벌채량, 벌채 면적이 더 많았다는 보도 자료를 냈다”며 “이 자료는 통계를 비틀어 눈속임을 한 것이다”라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가지치기·솎아베기 등 숲 가꾸기를 통한 벌채량은 문재인 정부가 박근혜 정부의 3분의 1 수준에 그쳤지만, 숲 전체를 사실상 싹 쓸어버리는 ‘모두베기’ 벌채량은 현 정부가 이미 8%가량 더 많고 앞으로도 상당한 작업량이 예정돼 있다. 그런데도 산림청이 자신에 유리한 자료만 언론에 공개하고 불리한 자료는 뺀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산림청은 "벌채허가면적은 목재수확(벌채) 이후 조림사업이 수반되는 모두베기 및 수종갱신의 면적 합계고 목재수확량은 벌채허가(모두베기·수종갱신) 외 목재로 활용할 수 있는 숲가꾸기(솎아베기)와 산불·병해충 피해목서 발생되는 목재 등의 양을 합한 것"이라며 "2013∼2016년과 2017∼2020년까지 면적 및 목재수확량에 대한 연평균 기준을 제시한 것이고 조선일보 보도는 이 기간 동안 모두베기에 대한 총량만을 비교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다만, “최근 5년간 우리나라 나무의 양은 매년 약 23백만㎥ 가량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모두베기의 양이 8% 증가한 것은 과다하게 늘었다고 보기에는 곤란하며, 오히려 면적의 경우에는 4.5% 감소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자료=산림청)
(자료=산림청)

또 오래된 나무가 탄소흡수가 더 많다는 세계 각국의 연구 결과가 알려지자 산림청이 ‘개개의 나무 흡수량이 아닌 숲 전체를 봐야 한다’는 새로운 논리를 제시했다는 언론의 지적에 산림청은 “지난 1월 20일 산림부문 탄소중립 전략 추진전략(안)을 마련하고 언론에 발표할 때부터 개별 나무에 대한 흡수량 기준이 아닌, 산림 전체에 대한 흡수량을 기준으로 향후 전망과 전략을 수립, 발표하였다”며 연구 결과에 따른 입장을 바꾼 것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토양 등의 탄소흡수 능력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언론의 지적에 대해서도 "국가산림자원조사(NFI)를 통해 산림토양의 탄소저장량에 대한 조사가 진행 중이며, 국외의 사례는 산림토양의 탄소저장량은 대체로 일정한 수준으로 안정화되어 있어서 온실가스 인벤토리에서 큰 변동 요인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