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 ‘제5차 여성 고용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발굴 전문가 간담회’ 개최
2020년에 가장 크게 증가한 유형은 ‘재택 및 원격근무제
모성보호제도 실효성 제고 및 육아휴직 복귀 이후 고용유지 방안 정책적 모색 필요

지난 4년간 남녀 근로자 '유연근무제' 활용이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신현지 기자)

[중앙뉴스=신현지 기자] 최근 4년간 여성과 남성 임금근로자 모두 유연근무제 (단축근무제, 시차출퇴근제, 선택적 근무시간제, 재택 및 원격 근무제, 탄력적 근무제 등 )활용 비율이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택 및 원격근무제’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활용 비율이 여성과 남성 임금근로자 모두 8% 미만이었던 것이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처음으로 15%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가족부는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차 여성 고용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발굴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날 간담회의 발제를 맡은 김난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에 따르면 '2017~2020년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 4년간 유연근무제 활용이 남성과 여성 임금근로자 모두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여성 임금근로자는 2017년 4.9%에서 2020년 12.0%로 2.4배 늘었고, 남성 임금근로자 역시 2017년 5.5%에서 2020년 15.9%로 2.9배 증가했다. 특히, ‘재택 및 원격근무제’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활용 비율이 여성과 남성 임금근로자 모두 8% 미만이었으나,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처음으로 15%를 넘어섰다.

(자료=여가부)
(자료=여가부)

최근 4년 간 임금근로자가 가장 많이 활용한 유연근무제 유형은 ‘시차출퇴근제’였고, 2020년에 가장 크게 증가한 유형은 ‘재택 및 원격근무제’였다. 임금근로자의 혼인상태별로 분석하면, 여성은 기혼이, 남성은 미혼이 유연근무제 활용 비율이 높았다.

산업별로는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법’,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에서 2020년 여성과 남성 임금근로자 모두 유연근무제 활용 비율이 20%를 넘었다.

특히 2017~2020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분석한 결과에서는 18세 미만 유자녀 기혼여성의 고용이 코로나19로 큰 타격을 받았다. 2020년 15세 이상 54세 이하 기혼여성 중 18세 미만 유자녀 기혼여성의 취업자 수와 고용률은 전년대비 각각 156천 명, 1.5%p 줄었다.

막내 자녀 기준으로 3세 이상 4세 이하의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고용률이  전년대비 3.0%p로 크게 감소했는데 이는 어린이집 등의 휴원으로 인한 돌봄 공백이 발생하면서 돌봄 책임이 여성에게 전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간담회에 참가자 일부는 “중소기업 등에서의 모성보호제도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과 원격·비대면 근무 활성화, 장시간 근로문화 개선, 연령 주기별 맞춤형 인적자원개발 전략 마련 등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제안했다.

또 “산업·직군별로 유연근무제 활용률 편차가 큰 것을 확인했으니 산업·직군별 유연근무 활용 매뉴얼 제작 등 맞춤형 활성화 방안을 고민해야 하고, 근로시간 단축제 활성화를 위해 체계적인 대체인력 육성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정형옥 선임연구위원은 “유연근무제는 ‘돌봄 책임이 있는 여성을 위한 제도’가 아니라 모든 근로자의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한 것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며, 육아휴직 제도의 실효성 제고와 더불어 여성의 육아휴직 이후 고용유지 방안에 대한 정책적 고민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3월 ‘코로나19 여성 고용위기 회복 대책’을 통해 유연근무제도 등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 도입 기업 지원 및 인센티브를 확대했다. 또  여성가족부는, 중소기업의 남성 육아휴직 활성화를 위한 가점을 5점에서 8점으로 상향하는 등 가족친화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는 기업에 부여하는 가족친화인증제 실효성을 강화하고 있다. 

김경선 여성가족부 차관은“코로나19 이후 유연근무가 확산되면서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격차를 줄여나갈 기회가 주어진 만큼, 기업의 일·생활 균형 지원 제도 활성화를 지원해 장기적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촉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