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문화재 디지털 대전환 2030 발표

자료=문화재청
(자료=문화재청)

[중앙뉴스=신현지 기자] 문화재 보존·관리·활용에도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되면서 문화재청이 2030년까지 문화재 보존·관리·활용 전 분야에 디지털 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16일 문화재청은 4차 산업혁명 시대와 지능정보사회 진입에 따른 사회‧경제 전반의 디지털 대전환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문화재 디지털 대전환 계획’을 밝혔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문화재 디지털 대전환의 목표를 ‘디지털로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유산’으로 설정하고, 다음과 같은 4가지 전략을 구성해 올해부터 2030년까지 17개 정책과제, 59개 세부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4가지 전략은 ▲ 일하는 방식의 디지털 전환, ▲ 대국민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 ▲ 데이터 축적과 관리방식의 전환, ▲ 디지털 대전환 생태계 강화 등이다.

 단계별 추진 일정 (자료=문화재청)

먼저, 일하는 방식의 디지털 전환 전략이다. 이를 위해 문화재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수집, 축적, 통합, 관리하는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문화재 보존, 관리, 활용 전반에 관한 자료를 디지털 대전환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하고, 구축한 데이터는 웹툰, 게임 등 문화산업 원천자료로 활용하도록 개방한다.

또한, 무형문화재 전승지원 통합플랫폼 구축, 문화재 수리기록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문화재 안전을 위한 방재 드론 스테이션 구축 등을 추진한다.

데이터와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해 문화재 정보 서비스를 개선하는 대국민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 관련에서는, 방문자 눈높이와 상황을 인공지능이 자동인식해 맞춤형으로 안내하는 문화재 안내봇을 개발하여 로봇 해설사, 인공지능 스피커, 디지털 안내판 등에 접목한다.

또 데이터 축적과 관리방식의 전환에는 국가귀속 출토유물의 목록 자료화, 해양문화재와 수중매장문화재의 디지털 자료화, 국외소재문화재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등을 추진하고 세계유산 자료와 정보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한양도성이나 경주 등 역사도시 속 문화재와 인물, 사건 등을 가상공간에서 디지털로 복원하여 간접 경험하는 ‘메타버스 타임머신’ 서비스도 구축할 방침이다.

디지털 대전환 생태계 환경 강화 전략에 대해서는 문화재 디지털 대전환 경험을 세계와 공유해 문화재를 통한 정보통신기술 강국의 위상을 강화하고, 문화재 현장에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에 능숙한 인력을 양성‧배치해 새로운 일자리를 늘리고, 디지털 취약계층인 노인, 어린이, 장애인, 이주외국인 등에게도  문화재 디지털 향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문화재청은 “올해를 시작으로 2022~2025년은 분야별 데이터를 축적, 가공, 통합해 문화재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2026~2030년은 분야별 인공지능 업무와 서비스를 실제 업무에 적용, 2031년부터는 대국민 서비스를 본격화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아울러“이번 문화재 디지털 대전환 추진을 통해 예측 가능한 보존관리를 구축하고, 맞춤형 서비스 구현으로 미래 문화재 정책과 행정서비스의 변화를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디지털 전략을 마련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