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개 대기업, 2016년 125.8→2020년 117.1…6.9% 감소
기업 신규 중국 비즈니스 기회 발굴 위한 대중 경제협력 정상화 시급

전경련이 2016년 이후 중국 투자 한국 법인의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관련 기업은 매출액, 이익률, 시장점유율 하락 등 3중고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100대 기업 중 중국 매출 공시 30개 대기업의 對중국 매출은 2020년 117.1조원으로 2016년 대비 6.9% 감소했다. 전경련은 2018년부터 미국의 對중국 무역규제로 화웨이 등 중국 기업의 한국산 메모리반도체 수요가 감소한 것이 매출 감소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사진=픽사베이, 재구성)
(사진=픽사베이, 재구성)

실제 한국의 2020년 對중국 메모리반도체 수출은 2018년 대비 29.1% 감소했다. 중국 매출이 감소함에 따라 30개 대기업의 전체 해외매출 중 중국의 비중은 2016년 25.6%에서 2020년 22.1%로 3.5%p 줄었다.

한국․일본의 전체 중국법인에 대한 최신 경영실적 리포트에 따르면 한국의 전체 중국법인 매출은 2016년 1870억달러(약 225조원, 연말 환율 계산, 이하 동일)에서 2019년 1475억달러(약 171조원)로 2016년 대비 21.1% 감소했다. 이에 비해 일본 전체 중국법인 매출은 2016년 47.6조엔(약 490조원)에서 2019년 47.1조엔(약 502조원)으로 2016년 대비 1.1% 감소에 그쳤다.

한국 전체 중국법인의 매출은 2013년을 정점(2502억달러: 약 261조원)으로 지속 감소하고 있다. 이는 2018년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화웨이 등 중국 기업의 한국 반도체 등에 대한 수요 감소, 현지수요 감소, 경쟁심화 등이 겹쳤기 때문이라고 전경련은 지적했다.

(자료=금융감독원 전자공시)※ 30개 대기업 :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 LG전자, 현대모비스, GS칼텍스, LG화학, SK하이닉스, 포스코인터내셔널, S-Oil, LG디스플레이, 현대오일뱅크, 현대글로비스, 롯데쇼핑, 롯데케미칼, SK네트웍스, 삼성에스디에스, 삼성SDI, 한화토탈, 한화솔루션, 대우조선해양, LG이노텍, 두산인프라코어, 삼성전기, LG생활건강, 포스코건설, 호텔롯데, 현대위아, 만도, 동국제강
(자료=금융감독원 전자공시)※ 30개 대기업 :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 LG전자, 현대모비스, GS칼텍스, LG화학, SK하이닉스, 포스코인터내셔널, S-Oil, LG디스플레이, 현대오일뱅크, 현대글로비스, 롯데쇼핑, 롯데케미칼, SK네트웍스, 삼성에스디에스, 삼성SDI, 한화토탈, 한화솔루션, 대우조선해양, LG이노텍, 두산인프라코어, 삼성전기, LG생활건강, 포스코건설, 호텔롯데, 현대위아, 만도, 동국제강

실제로 올해 2월 중국한국상회 조사결과(중국진출기업의 공급사슬, 경영환경 및 전망과 대응)에 따르면 우리 기업들은 매출 감소원인으로 현지수요 감소, 경쟁심화 등 순으로 꼽았다. 중국법인 매출 부진이 이어지면서 2015년 이후 한국 기업의 중국 신규 법인 및 총인원 역시 지속 감소세에 있다. 같은 기간 한국 기업의 아세안 10개국 신규법인 및 총인원이 꾸준히 늘어난 것과 대조를 이룬다.

한국 전체 중국법인의 영업이익률은 2016년 4.6%에서 2019년 2.1%로 2.5%p 감소한 반면 일본 전체 중국법인의 이익률은 2016년 5.5%에서 2019년 5.3%로 0.2%p 감소하는데 그쳤다.

이처럼 2016년 이후 한국 중국법인의 매출액과 이익률이 일본보다 더 감소한 것은 한국 브랜드 자동차, 스마트폰, 화장품 등 주요 품목의 중국 시장점유율이 계속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브랜드 승용차의 중국시장 점유율은 2016년 7.7%에서 2020년(1~9월) 4.0%로 3.7%p 줄어든 반면 일본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은 2016년 15.1%에서 2020년(1~9월) 22.3%로 7.2%p 증가했다.

중국 수입화장품에서의 한국의 점유율은 2016년 27.0%에서 2020년 18.9%로 8.1%p 감소한 반면 일본의 점유율은 2016년 16.8%에서 2020년 24.8%로 8.0%p 증가했다.

한편 중국 스마트폰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화웨이, 샤오미 등 중국 기업의 파상공세로 2016년 4.9%에서 2019년부터 1% 미만으로 떨어져 존재감을 완전히 상실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지난해 한국의 對중국 직접투자는 코로나19, 미국의 對중국 기술굴기 차단 조치 등에 따른 對중국 비즈니스 리스크 확대로 전년 대비 23.1%나 줄었다”며 “양국 정부간 공식·비공식 경제협의체를 활발히 가동해 기업의 당면 중국 비즈니스 애로 해소, 한중FTA 서비스․투자 협상(18년 3월 이후 3년 이상 진행 중)의 조속한 타결 등에 힘써야 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이 문화콘텐츠, 수소에너지, 바이오 등 신성장분야에서 새로운 중국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