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들이 금융위기 이후 가계부채를 줄이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매년 8% 넘게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 금융권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집계한 회원국 가계부채(비영리법인 포함) 증가율은 금융위기 이후 연평균 8.7%에 달해, 칠레(11.9%) 등 일부 회원국과 함께 OECD 최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집계하는 가계부채(가계신용)를 기준에서도 2008년 말 723조5천억원인 가계부채 잔액이 지난해 말 1천21조4천억원으로 매년 8.2%씩 증가했다.

이는 2008년 말 13조8천억달러였던 미국의 가계부채가 금융위기 이후 매년 0.7% 줄어 지난해 말 13조3천억달러로 감소되었으며, 같은 기간 일본도 325조4천억엔에서 311조1천억엔으로 매년 1.1%씩 감소한 것돠 좋은 대조를 보이고 있다.

독일과 영국은 각각 1조5천억유로와 1조4천억파운드에서 1조6천억유로와 1조5천억파운드로 연평균 증가율이 0.5%씩에 불과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 들어 대출 규제를 풀고 금리를 내리는 등 부채를 늘리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잡은 금융당국의 기조에 따라 국민·우리·신한·하나·농협·기업·외환 등 7개 주요 은행 주택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297조7천억원에서 지난 28일 301조5천억원으로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연간으로 환산할 경우, 15.6%에 달하는 증가율이다.

한편, 부채 건전성을 보여주는 한국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중은 163.8%로 독일(93.2%), 프랑스(104.5%), 미국(114.9%), 영국(150.1%) 등 주요 선진국보다 높았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