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유가 하락으로 원유 수입국이 받는 재정상 혜택보다 원유 수출국이 받는 타격이 더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앙뉴스=신주영기자]국제유가 하락으로 원유 수입국이 받는 재정상 혜택보다 원유 수출국이 받는 타격이 더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2일 국제통화기금(IMF)이 각국 재정에 미칠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작년 하반기부터 나타난 국제유가 하락으로 올해 원유 수입국의 재정 적자가 줄거나 흑자가 늘어나는 규모는 해당국 국내총생산(GDP)의 평균 1% 수준으로 추산됐다.

 

특히 선진국의 경우 유가 하락에 다른 올해 재정 적자 감소분이 GDP의 0.1%에 못 미치는 수준일 것으로 전망됐다.


국제유가 하락이 국내 판매가격에 그대로 전가되거나 유가 수준에 따라 원유관련 세금이 결정되는 국가는 재정 적자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작을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반대로 원유 수출국은 유가 하락으로 인한 올해 재정적자 증가분이 GDP의 평균 4%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재정의 원유 의존도가 90%에 달하는 이라크, 카타르 같은 국가에서는 유가 하락으로 GDP의 최대 30% 규모의 재정 적자가 늘 수 있다는 것이다.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걸프협력회의(GCC) 회원국처럼 금융자산이 축적됐거나 환율이 절하되는 국가들은 유가 하락에 따른 재정 충격을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원유 수출국들이 균형재정을 이룰 수 있는 유가 수준은 2008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해 왔는데 올해는 배럴당 58달러 선이 균형재정 유가인 것으로 추산됐다.

 

또 올해 서부텍사스산 원유(WTI)와 브렌트유, 두바이유의 평균 유가가 배럴당 60달러를 밑돌면 쿠웨이트를 제외한 산유국 대부분이 경상수지와 재정수지 적자를 낼 것이라고 IMF는 전망했다.

 

최근엔 금융불안을 겪은 러시아와 베네수엘라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선언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유가 하락이 국제금융시장의 단기 불안요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

 

또 에너지 관련 기업이 발행한 고수익채권의 디폴트 위험이 커지고 원유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금융상품의 손실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경기둔화에 따른 원유수요 위축으로 글로벌 디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면서 일부 산유국의 채무불이행이 현실화될 경우 금융불안이 신흥국 전반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