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뉴스= 신현지 기자] 문화재청은 경기도 유형문화재 ‘남한산성 숭렬전’ 등 10건의 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금일(25일) 지정한다고 밝혔다.

남한산성 숭렬전 (사진=문화재청)
남한산성 숭렬전 (사진=문화재청)

이번에 보물로 지정되는 문화재들은 사묘(祠廟)·재실(齋室)․정려각(旌閭閣) 같은 유교건축 8건, 내아(內衙)와 통일신라 석탑 각 1건이며, 지역별로는 경기도와 강원도, 충청북도 각 1건, 전라북도와 경상북도 각 2건, 전라남도 3건이다.

보물로 지정된 8건의 유교건축 중 ‘남한산성 숭렬전’(경기도 광주시)은 병자호란을 당해 임금이 남한산성에 머물면서 백제시조인 온조왕(溫祚王)에 대해 제사를 지낸 일을 계기로 1638년에 세워진 사묘다. 1661년 현 위치로 옮겨진 이후 정조 때에 ‘숭렬전’이란 명칭이 내려졌으며, 다른 역대 시조묘에게 올리는 격식을 따라서 제사를 거행하면서 현재까지 그 위치를 지키고 있는 곳이다.

‘영월 창절사’(강원도 영월군)는 사육신 등 열 명의 충신(忠臣)을 제향하기 위해 1685년에 건립된 곳으로 1705년 현 위치로 이건되었다. 보통의 사당에 비하여 비교적 규모가 크며, 사당 외에도 유생들이 모여 학문하는 강당(講堂)과 동서재(東西齋), 배견루(拜鵑樓, 누각)를 갖추고 있다.

‘영동 세천재’ (충청북도 영동군)는 1691년에 처음 지은 재실로, 그의 부친인 박지찬(朴之燦)과 아들인 박수소(朴守素)까지 3대를 제향하는 공간이자 후손들의 강학을 위한 공간이다. 광복 후에도 독립운동가 성하식이 훈장을 맡아 교육했고, 초대 부통령인 이시영이 시국강연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김제 내아(사진=문화재청)
김제 내아(사진=문화재청)

‘고흥 여산송씨 쌍충 정려각’ (전라남도 고흥군)은 여산송씨 문중의 송대립(宋大立, 1550~?)과 그의 아들 송침(宋諶, 1590~1637)이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전공을 세우고 순절한 것을 기려 조정에서 내려준 정려를 보관하는 건축물로, 1704년(숙종 30년)에 건립된 이후, 여러 차례 수리와 정비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강진 해남윤씨 추원당’ (전라남도 강진군)은 해남윤씨 10세(世) 윤사보(尹思甫)와 11세 윤경(尹耕) 부자를 모시는 재실로, 1649년 무렵 윤선도의 주도로 창건된 이래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내부에 제사를 지내기 위한 마루가 매우 넓게 꾸며져, 조선 중기 이후 지역에서 전개된 향촌과 문중의 역사를 조명할 수 있는 중요한 유교문화유산이다.

전주 조경묘 정묘’는 전주 이씨의 시조(始祖)인 이한(李瀚)과 비(妃, 아내)의 위패를 봉안하기 위하여 1771년에 건립된 이후 현재까지의 이력이 분명한 건축물로, 현존하는 사례가 적은 18세기 왕실 사묘이다. 지방에 위치하고 있는데도 창건과 관리, 운영, 제향에 국가가 깊이 개입했다는 특징이 있다.

포항 상달암(사진=문화재청)
포항 상달암(사진=문화재청)

‘포항 상달암’은 조선 전기 문신인 손소(孫昭)의 묘를 조성할 때 묘소를 수호하고 망자의 명복을 빌기 위한 목적으로 1484년에 중건된 재실 건축으로, 1595년과 1786년에 각각 수리되어 현재에 이른다. ‘ㄱ’자형 평면을 갖는 맞배지붕 건물로, 1484년 중건 당시 누마루인 화수루(花樹樓) 부분이 덧붙여져 있다. 본채의 맞배지붕에 덧댄 가적지붕의 독특한 지붕 구성은 중건 당시의 모습으로 판단되어 학술적 가치가 높다. 기록과 건축 유구를 통해 재실로 변모한 역사적 전개과정을 알 수 있고, 15세기 건축적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다.

이번 보물 지정 중 유일한 내아 건물인 ‘김제 내아’(전라북도 김제시)는 1749년 무렵 지어졌으며, 조선 후기 지방관의 일상을 고찰할 수 있는 드문 사례다. ‘ㄷ’자형 평면으로 가운데 본채와 좌우 날개채로 구성되었는데, 남향인 동헌과 달리 동향으로 지어져 두 영역 간 간섭을 최소화했다.

동헌 쪽 날개채는 주택의 사랑채와 같이 구성하여 안마당을 보호하면서도 대외적인 관계를 고려했고, 반대쪽 날개채에는 안방과 부엌을 두어 살림의 중심으로 삼았다. 이렇게 대청을 경계로 양쪽 날개채에 내외(內外) 개념을 적용한 것은 김제 내아의 독특한 공간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석조문화재인 ‘경주 (전)염불사지 동․서 삼층석탑’ (경상북도 경주시)은 통일신라인 8세기 전반에 건립된 5.85m 높이의 석탑이다. 두 탑은 모두 상, 하 2층의 기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탑신과 옥개석은 각각 1매의 석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륜부는 대부분 사라지고 노반석만 남아 있다.

복원 과정에서 일부 새 부재들이 사용되었으나, 전체적인 조영 기법과 양식, 석탑 기초부에 대한 발굴 조사 결과 등을 고려할 때, 8세기 전반에 건립되어 통일신라 석탑의 전형과 양식사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