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0여 자밖에 안 되는 고전 중의 고전이 있다

기독교에는 성경, 불교에는 불경이 있다. 그리고 유학의 경전에는 사서(四書)로 알려진 대학, 논어, 맹자, 중용이 있다.

만일 어떤 책이 독립적인 한 권의 책으로 세상에 나와 주목받기까지 1000년에 가까운 세월이 결렸다면 참으로 신기한 일이다. 그것이 ‘대학’이다. 이 책은 본래 오경(五經: 시경, 서경, 주역, 예기, 춘추)의 하나인 ‘예기’ 전 49편 제42편에 해당하는 글이었다.

당나라 한유로부터 시작해 송나라 대학자인 주희의 정신적 스승인 일컫는 정호, 정이 형제에 이르기까지 많은 유학자가 관련돼 있다. 특히 서양에 새로운 유학이라고 알려진 성리학을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주희에 이르러서 대학은 유가의 도(道)가 실려 있는 중요한 문헌으로 형성됐다.

또 주희가 병든 몸을 일으켜 임종 직전까지 대학의 ‘성의장(誠意章)’을 붙들고 연구에 몰두했다. “다시 고친 곳이 많다”고 고백하면서까지 대학을 수정하는 작업에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는 것은 유명한 이야기다.

조정현 칼럼니스트
조정현 칼럼니스트

 

언제나 현실은 혼탁했으므로

왜 그렇게까지 했을까? 주희는 대학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공자의 3000명에 가까운 제자들이 대학에 관한 설명을 듣지 않은 이가 없었으나 증자만이 홀로 그 정통을 얻어 해설을 지어 그 의미를 천명했다. 맹자가 세상을 떠난 후 그 전통이 없어져 버렸으니 대학이라는 책이 있기는 하였으나 아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중략) 이단적인 허무적멸(주희는 도교와 불교의 가르침을 이와같이 비판함)의 가르침은 고상함이 대학을 능가하나 실질이 없었다. 그밖에 권모술수 등 헛된 이름을 추구하는 학설과 백가중기의 부류는 세상을 현혹시키고 백성을 속여 인(仁)과 의(義)를 막았다. 그래서 군자는 불행하게도 큰 도(道)의 핵심을 들을 수 없게 되었고 소인들은 불행히도 지극한 정치의 혜택을 입지 못했다.(중략) 천도(天道)의 운행은 순환하니 항상 가면 되돌아 온다. 송나라의 덕이 융성해 정치와 교육이 아름답고 밝아서 하남의 정 씨 두 선생이 나오셔서 맹자의 도통을 잇게 됐다. 그리하여 실로 이 대학을 존중해 믿기 시작해 그 뜻을 밝혀 나타내게 된 것이다”

 

그렇게라도 백성을 새롭게 하고 싶었을까

“대학지도(大學之道)는 재명명덕(在明明德)하며 재신민(在新民)하며 재지어지선(在止於至善)이니라 대학(大壑), 즉 큰 배움의 길은 밝은 덕을 밝히는 데 있고 백성들을 새롭게 하는 데 있으며 지극한 선에 머무는 데 있다. “탕왕의 반명(盤銘)에는 ‘진실로 새로워지고, 나날이 새로워지고 또 날로 새로워질지라’라고 했다. ‘강고’에는 ‘새로워지는 백성들을 진작시킨다’고 했다. ‘시경’에는 ‘주는 비록 오래된 나라이나 그 천명은 새롭도다’라고 했다. 그러므로 군자는 그 극치를 적용하지 않는 곳이 없는 것이다” -대학-

 

공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한민국에서 어려서부터 자의든 타의든 열심히 공부해 성취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좋은 대학에 들어가기 위한 것인가? 그러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대학에서 말하려는 큰 배움의 길은 무엇일까. 먼저 공부하는 사람들이 나아가야 할 길은 살마이 타고난 착한 본성에서 나오는 밝은 덕(德) 즉 인의예지(仁義禮智)를 밝히는 것이다.

착한 버ᅟᅩᆫ성은 사람이 하늘에서 얻은 것으로 우리 마음 속에 항상 빛나고 있다. 주희는 명덕(明德)을 거울에, 명명덕(明明德)은 흐려진 거울을 닦는 것에 비유했다.

그러니까 인간의 욕심에 의해 가려지고 때로는 어둡게 된 밝은 덕을 노력해 닦는다면 착한 본성이 밝게 드러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 밝은 덕을 밝히는 것이 공부하는 사람들의 최종 목표는 아니다. 백성 즉, 국민을 새롭게 하려는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이다.

 

‘친(親)’에서 ‘신(新)’으로?

‘백성을 새롭게 한다’는 ‘신민(新民)’이라는 개념은 대학에서 논란이 많은 개념이다. 예기에 포함돼 있던 ‘대학’의 원문에는 ‘신민(新民)’이 아니라 ‘백성을 가까이 해 함께 있다’는 뜻인 ‘친민(親民)’이었다. 여기서 ‘친(親)’은 관계의 일방성이 아닌 상호성을 나타내는 덕목이다. ‘친민’은 바로 임금과 백성 사이에 부자지간과 같은 친함이 있어야 함을 뜻한다.

그런데 탕왕(하왕조의 걸왕이 가혹한 정치를 해 혁명적 군사행동을 통해 걸왕을 토벌한 인물)의 목욕 그릇에 새겨 있었다는 ‘일일신 우일신(日日新又日新)’이라는 구절이 예부터 ‘천명(天命)’ 즉, 하늘의 명임을 들어 정이와 주희는 과감하게 ‘친(親)’을 ‘신(新)’으로 바꾼 것이다.

 

백성을 뭘로 보는 걸까?

전통적인 중국사회에서 송나라 이후 사회 전면에 나섰던 사대부들에게 나타난 유학의 정신 중 하나다. 즉, 유가는 백성들의 일상적인 생활에까지 직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려 했던 것이다. 그들이 국민과의 관계를 수평적이 아닌 지극히 수직적인 관계로 여겼음이 분명해 보인다.

과연 그 ‘신(新)’이 큰 배움의 길이라 할 수 있을까. 권력의 독선은 아닐까? 그들에게 백성이 ‘친(親)’일 수는 없었을까?

그건 그때고 그렇다면 지금여기는 ‘친(親)’일까 아니면 ‘신(新)’일까.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