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간리청, ‘제13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발간

[중앙뉴스= 이광재 기자] 질병관리청이 다양한 기관에서 생성하는 손상 관련 자료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고자 14개 기관과 협력해 ‘제13차 국가손상종합통계’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손상(각종 사고, 재해 또는 중독 등 외부적 위험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신체적·정신적 건강상의 문제)이 발생 대상, 장소, 활동 등에 따라 여러 소관 부처에서 관련 자료를 수집·생산하고 있어 전체적인 손상 발생 규모 및 위험요인 파악에 어려움이 있고 이에 따라 효과적인 손상예방관리사업을 수립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었다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국가 단위의 손상통계를 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손상 관련 국가 보건정책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2011년부터 국가손상종합통계를 발간해 왔고 다양한 손상 문제를 반영할 수 있도록 발간기관 및 자료원을 지속 확대해 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손상 발생 규모 (제공=질뱡관리청, 자료원=국민건강영양조사, 119구급활동일지, 사망원인통계, 국민건강보험통계)
손상 발생 규모 (제공=질뱡관리청, 자료원=국민건강영양조사, 119구급활동일지, 사망원인통계, 국민건강보험통계)

제13차 국가손상종합통계는 2021년에 손상이 원인이 돼 발생한 사망, 119구급대 이송, 의료기관 이용, 학교 및 산업체 사고 신고, 소비자 안전사고 신고 등에 대한 통계 및 항목별 주요 결과에 대한 10년간의 추세를 담고 있다.

제13차 국가손상종합통계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병·의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했던 손상을 경험한 사람은 약 296만명(국민건강영양조사), 구급차로 이송한 손상환자는 55만명(구급활동일지)이었으며 사망원인통계에 의하면 2만6147명이 손상으로 사망해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대비 손상 발생 및 사망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국민건강보험통계에서 손상으로 인한 진료비는 2021년 5.3조원으로 최근 10년간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손상이 건강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했다.

손상기전별로 살펴보면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은 2012년 6502명에 비해 2021년 3624명으로 감소한 반면 추락 및 낙상으로 인한 사망은 2012년 2104명에서 2021년 2722명으로 증가해 추락 및 낙상에 의한 중증손상 예방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생애주기별로는 10세 미만 어린이의 경우 100명 중 2명이 추락으로 응급실을 방문(국가응급진료정보망)하고 17세 이하 아동청소년 1000명 중 6명은 아동학대를 경험(아동학대 주요통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청장년의 경우 교통사고(30대 1000명 중 7.5명, 교통사고현황) 및 직업과 관련된 손상(50대 취업인구 1만명 중 46.3명, 산업재해현황)이 많았고 노인의 경우 추락으로 인한 입원(70대 이상 노인 100명 중 3.1명, 퇴원손상심층조사)이 많았다.

이번 13차 국가손상종합통계에는 손상 사망원인 1위에 해당하는 자해·자살 문제를 살펴보고자 자살시도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자료원을 추가하고 여러 손상 자료원으로부터 자해·자살 환자의 특성을 분석한 집중분석 통계를 제시했다.

2021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연간 자살로 사망하는 사람은 1만3352명(10만명당 26명)으로 이는 일일로 환산하면 36.6명이다. 39분마다 1명씩 자살로 사망하고 있는데 10~49세 손상 사망자의 70% 이상이 자해·자살로 인한 사망이었다.

OECD 국가와 비교해보면 2019년 기준 OECD 평균 인구 10만명당 8.7명에 비해 우리나라는 20.1명으로 OECD 평균에 비해 2.3배 높았으며 OECD 38개 국가 중 1위였다.

SPEDIS(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시스템) 자료를 통해 자살시도자는 여자가 남자보다 2배 가량 많고 중독을 통한 자살시도가 80.7%(치료약물 80.5%, 농약 9.3%, 가스 7.8% 순)인 것으로 확인됐다.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중 사망률이 높은 중독물질은 ‘농약(18.6%)’이었다.

자해·자살로 응급실(23개 참여병원)을 내원한 환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자해·자살 손상은 대부분 집이나 주거시설에서 발생했으며 20~24시 및 0~4시에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손상조사감시사업 중앙지원단 노영선 단장(서울대학교병원 교수)은 “손상의 질병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예방과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동의를 얻을 수 있도록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또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국내 손상 관리를 위해 관련된 여러 기관이 협력해 손상이 건강 및 사회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함께 분석하고 논의하는 것은 효과적인 손상예방을 위한 초석”이라며 “이러한 노력으로 만들어진 국가손상종합통계를 손상예방관리 전략 및 대책 수립에도 적극 활용하고 손상 문제를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힘쓰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