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열사, 4년간 400개 늘어… 포스코, 38개 ‘최다 기록’

35개 대기업집단 가운데 최근 4년간 중소기업 분야에 신규진출한 곳이 절반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가운데 총수 자녀가 지분 또는 경영에 참여하는 회사의 중소기업 영위 분야 진출은 롯데, 삼성, 현대, CJ 등 17개 집단 30개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해 말 현재 22개 대기업의 계열사 74곳이 식음료 소매, 수입품유통,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등 중소기업 영위 업종에 진출한 것으로 분석됐다.

28일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2007년 4월부터 지난해 4월까지 연속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지정된 35개 민간 대기업집단의 계열회사 수 변동현황, 신규편입된 회사들의 편입사유, 진출업종 등을 분석해 이같이 공개했다.

이에 따라 총수 자녀들이 학원, 빵집 등의 중소기업영역에 진출해 손쉽게 사업을 확장하면서 중소 상인들의 밥그릇을 빼앗고 있다는 비난이 커지고 있다.

중소기업 영위분야는 동반위 선정 중소기업적합업종·품목(82개), 중소기업 사업조정신청(15개), 최근 이슈가 됐던 식음료 소매업, 수입품 유통업, 교육서비스업, 웨딩서비스업 등 4개 업종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공정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35개 대기업 집단 가운데 중소기업 분야 진출이 많은 곳은 삼성, 신세계(각 7개사), 롯데, GS(각 6개), CJ, 효성(각 5개) 등이다.

또 중소기업 분야에 진출한 74개사를 업종별로 보면 식음료소매(19개), 수입품유통(18개)이 가장 많았다.  교육서비스(5개), 웨딩서비스(2개)도 눈에 띄었다.

재벌 2~3세가 지분 또는 경영에 참여한 중소기업 분야 진출은 롯데(5개사)가 가장 활발했고 삼성(4개), 현대차(3개)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이와 함께 총수 3세들은 베이커리·커피판매점 등 식음료 소매업(8개), 패션·명품 등 수입유통업(5개), 교육서비스업(2개)에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삼성그룹의 제일모직·콜롬보코리아(이서현), 보나비(이부진), 롯데그룹의 롯데리아(신동빈), 시네아통상·시네아푸드(신영자), 블리스(장선윤), 현대차그룹 해비치호텔앤드리조트(정성이), 종로학평·입시연구사(정태영), 현대백화점그룹 현대그린푸드(정지선), 신세계그룹 조선호텔베이커리(정유경), 두산그룹 디에프엠에스(박정원), 한진그룹 싸이버스카이(조현아, 조원태), 효성그룹 효성토요타(조현준) 등 이다.

아울러 LED램프· 출판 등 중소기업적합업종 품목에 들어간 계열사는 14개사, 중기중앙회와 사업조정중인 대형마트·서점·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등 업종은 21개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집단은 지난 4년간 652개사를 계열사로 신규 편입했다. 흡수합병·지분매각으로 계열사에서 빠진 기업은 259개사다.

집단군별 계열사 증가율은 5~10대 그룹(20.7%)이 가장 높고 1~4대(14.1%), 11~35대(7.8%) 순이었다.

이들 업체는 4년간 35개 집단의 자산(516조8천억원), 매출액(463조8천억원) 증가에 10.8%, 13.8% 각각 기여했다.

652개 새 계열사의 업종은 신성장동력 98개사(15%), SOC 분야 35개사(5.4%), 중소기업 영위분야 30개사(4.6%) 등이 두드러졌다.

계열회사는 SK(86개), 삼성, 롯데(각 78개), GS(76개), CJ(65개) 순이었다. 4년간 계열사 수가 많이 증가한 그룹은 포스코(38개), 롯데(34개), SK(29개), LG, GS(각 28개) 등이다.

이중 총수일가의 지분이 있는 곳은 43개사(6.6%)였다. 이중 총수 지분율이 90%를 초과하는 회사가 30.2%로 가장 많았다.

이밖에도 신규 계열사 가운데 75.5%(492개)가 서비스업 등 비제조업인 것으로 나타났고, 세부업종별로는 부동산업(60개), 창고·운송 서비스업(52개), 전문서비스업(34개) 등 순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공정위는 계열사 확장과 출자총액제한제도 폐지의 인과관계는 불분명하다고 분석했다.

계열사 증가율이 출총제 폐지 전 2008년 4월 12.1%, 2009년 13.6%에서 폐지후 2010년 4월 3.8%, 2011년 4월 12.3%로 낮거나 유사하기 때문이다.

공정위는 “출자총액제한제 폐지 후 2년간 계열사 증가율은 폐지 전과 비슷하다”면서 “계열사 수 증가 자체보다 계열확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총수일가의 사익추구나 중소기업영역 잠식 등이 대기업집단 문제의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공정위는 앞으로 대기업집단에 대해 일감 몰아주기 등 불공정행위 감시 강화, 총수일가 사익추구 점검, 대기업 자율의 내부 견제장치 마련, 엄정한 법집행 등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