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품의 호주, 뉴질랜드 시장에 대한 시장점유율이 경쟁국에 비해 떨어지고 있어 한·호주, 한·뉴질랜드 FTA 체결이 시급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호주 및 뉴질랜드 FTA 체결시 기대효과’보고서를 통해 호주가 FTA를 체결한 미국, 싱가포르, 태국 이외에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 우리의 주요 경쟁국과 FTA를 확대하면서 호주와의 FTA 체결이 지연될 경우 호주시장에서 우리기업의 경쟁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 제품의 호주에 대한 시장점유율은 ‘03년 3.7%에서 지난해에는 2.9%로 떨어졌다. 반면, 호주와 FTA를 체결한 싱가포르(‘03.7월 발효)나 태국(‘05.1월 발효)의 경우 각각 ’03년 3.4%와 2.8%에서 지난해 6월 현재 8.0%, 4.5%로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또 뉴질랜드가 중국과 FTA를 체결하면서 뉴질랜드 시장에서 중국산 제품과 경합하고 있는 자동차, 자동차 축전지, 타이어 제품의 한·중간 관세격차는 10%에 달한다고 밝혔다. 전품목의 뉴질랜드 시장점유율의 경우 우리나라는 ‘03년 2.7%에서 지난해 6월에는 2.3%로 떨어졌으나, 싱가포르(’01.1월 발효), 태국(‘05.7월 발효)은 뉴질랜드와 FTA를 체결하면서 같은 기간 각각 2.0%에서 5.3%로, 1.8%에서 2.8%로 높아졌다.

호주, 뉴질랜드와의 FTA 체결시 예상되는 주요 기대 효과로는 주력 수출 품목의 수출경쟁력 강화 효과를 들었다. FTA 체결로 우리 수출품목에 대한 관세가 인하되면 대호주 수출액은 7.3%, 대뉴질랜드 수출액은 3.9%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무관세화 또는 관세 인하로 수출증가가 예상되는 품목은 호주의 경우 자동차, 자동차 부품이며, 전기전자, 기계류, 연료 및 에너지, 고무제품, 플라스틱 등으로 예상된다.

뉴질랜드의 경우, 기계류와 철강제품, 플라스틱제품, 타이어 등 고무제품의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보았다.

이 밖에도 호주와 뉴질랜드는 광물 에너지 자원과 원목 등 원자재 자원이 풍부한 자원부국이기때문이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