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14일 새 정부 출범에 맞춰 금리인하를 미룬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김 총재는 이날 2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연 2.75%로 동결한 후 기자회견를 열고 "정부 정책과 (통화정책이)조화를 이뤄야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해야 할 일을 미루지는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총재는 "새 정부가 들어오니까 중앙은행이 타이밍을 맞추려는 게 아니냐는 의견 있는데 아니다"라고 거듭 밝혔다.

일본, 중국, 미국 등 주요국과의 통화정책 공조가 중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김 총재는 "우리나라 경제와 긴밀한 관계가 있는 나라와는 정책공조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의 3차 핵실험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다'고 진단했다.

김 총재는 국내 수출이 2월 이후부터 완만하게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지난해 12월 수출은 전월에 비해 매우 크게 늘어났고 2월에 설날이 끼어있어서 1월과 같은 추세가 이어지진 않겠지만 종합적으로 보면 완만하게나마 개선되는 추세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김 총재와의 일문일답.

-4개월째 금리를 동결했는데, 지난해 7월, 10월 금리인하 이후 통화완화 기조는 중단됐다고 봐야 하나.
"몇달째 동결했는지는 우리에게 중요하지 않다. 현재 수준 자체도 금융완화 기조라고 생각한다. 지금 추가로 금리를 더 내려야 계속 완화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도 금융기조는 긴축이라기 보다 어느 정도 완화 상태에 있는 것이다."

-현재 통화완화정책을 펴고 있다고 했지만, 통화유통속도는 계속 떨어지고 있다. 유동성 함정을 우려해야 하는 것 아닌지.
"통화유통속도는 2011년에 0.72에서 2012년에 0.698로 떨어졌지만 현저한 차이는 아니다. 과거에 통화량 위주의 정책을 취했을 때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이것을 가지고 (통화)완화가 아니라고 얘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간의 공조를 최근 강조하고 있는데.
"여러가지 형태의 정책들이 패키지로 같이 고려되어야 효과가 있지 따로 가면 좋지 않다. 물론 각자 담당하는 목표가 있지만 전체를 연결해서 보는 건 경제학의 기본이다.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은 서로 대체되는 것이 아니라 보완되는 관계이기 때문에 협의를 해서 효과를 극대화하는 게 좋다."

-최근 주요 선진국의 양적완화 정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양적완화가 자국의 경제와 전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미국에선 양적완화를 시행하지 않았을 경우 국내총생산(GDP)이 3%(포인트) 정도 떨어졌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신흥국 입장에선 자본이 유입돼 시장을 교란시키는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다. 즉 국제경제적으로 보면 실보다 득이 많을 수 있지만 특정 나라는 득보다 실이 많을 수 있다. 우리나라는 지정학적 위험이 있고 경제개방 정도가 매우 넓고 성장을 무역에 의존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그런 경우가 맞을 것이다."

-원·엔 환율이 이번 금리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
"금리를 결정할 때 특정변수를 예의주시 하지만 단순히 그것만 가지고 결정을 하진 않는다. 금리와 환율 간 관계는 학계에서도 많은 연구분석이 이뤄져왔다.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서는 그 관계가 그렇게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