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006년 1차, 2009년 2차 핵실험을 했을 때 중국은 마지 못해 유엔의 대북 제재 결의에 찬성표를 던진 후 돌아서선 북한 달래기에 바빴다.

하지만 최근 북한의 장거리 로켓 시험 발사와 3차 핵실험에 대해 각각 유엔 제재 결의가 나온 이후 중국의 대응은 이전과 다르다.

중국은 7일(현지시각) 유엔 안보리에서 제재 결의가 채택 되자마자 이행 의지를 공공연히 밝히고 나섰다. 단독 제재 움직임도 포착된다.

대북(對北) 정책의 전면적인 전환으로 보기는 어렵지만 대북 압박 강도를 단계적으로 높이는 새로운 흐름이 감지된다.

리바오둥(李保東) 유엔 주재 중국 대사는 7일 유엔 안보리 결의 표결을 앞두고 기자들과 만나, "안보리 결의는 북핵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걸음"이라면서 "마땅히 전면적으로 이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는 일관되게 한반도 비핵화를 주장해 왔다"고도 했다.

중국은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에 대한 지난 1월 유엔 안보리의 2087호 제재 결의를 엄격하게 집행할 것을 정부 각 부처에 지시한 것으로 8일 확인됐다.


유엔 주재 한·미·중·러 대사들이 7일 밤(한국 시각) 안보리 회의장에서 대북 제재안 채택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비탈리 추르킨 러시아 대사, 수전 라이스 미국 대사, 김숙 한국 대사, 리바오둥 중국 대사. /주UN한국대표부 제공

중국 교통운수부 홈페이지에 올라온 지난달 21일자 공문은 이 결의안 내용을 소개하면서 '중국이 지고 있는 국제적 의무의 이행을 위해 각 기관은 이 결의를 엄격하게 집행하라'고 썼다.

베이징의 대북 소식통은 "이 공문은 교통운수부와 해관(세관), 금융기관, 공안기관, 변방 수비 군부대 등에 내려갔다"면서 "처음 있는 일"이라고 했다.

실제 공문이 내려간 이후 중국 해관에서는 북한 반입 물품 검사가 까다로워졌고, 은행들도 북한 관련 계좌 확인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관영 환구시보는 8일 사설에서 "이번 (제재결의)찬성표에 담긴 중국인의 감정을 북한은 더 이상 가볍게 여기지 않기 바란다"고 했다.

김숙 유엔 대사는 "북한이 중국의 설득을 끝까지 거부하고 3차 핵실험을 한 데 대해 중국은 분노하고 있고, 심한 모욕감을 느끼고 있다"면서 "중국의 안보리 제재 이행 의지를 의심할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중 양국 차원의 제재 움직임도 있다. 중국은 지난달부터 북·중 국경을 통해 들어오는 북한 노동력에 대해 건강 검진 요건을 대폭 강화했다.

북한 외화 벌이 노동력의 유입 장벽을 높인 것이다.

그러나 북한의 붕괴와 혼란으로 이어질 수 있는 대북 식량·석유 원조 중단 카드까지 쓸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민간의 반북(反北) 여론도 고조되고 있다.

장부훙(張步洪) 중국법학회 상무이사는 8일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 글에서 '유엔 안보리가 만장일치로 대북 결의안을 통과시킨 것을 열렬히 환영한다'고 썼다.

리카이성(李開盛) 상탄(湘潭)대 국제관계학원 교수도 "북한 최고 지도자는 중국이 왜 찬성했는지 분명히 알아야 한다. 벼랑 끝 전술은 이 즈음에서 그쳐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