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경기 없는데 시멘트~ 레미콘업체 밥그릇 싸움 해야하나?

생산원가 반영해라~ 경기침체로 수용 못한다 서로 입장만 주장하다 또 터진 시멘트-레미콘 가격 전쟁 왜?

시멘트 제조사들이 ‘지난해보다 9~10% 오른 가격으로 시멘트 값을 내라’며 일방적으로 보낸 계산서가  레미콘 업체에 반발을 샀고, 레미콘 업체들은 이 세금계산서를 무시한 채 ‘지난해 가격으로 임의 결제’하는 등, 시멘트 제조사와 레미콘업체들과의 신경전으로 사태가 확산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양측이 갈등의 조짐을 격고 있다.

시멘트 제조사들은 “원가에 크게 밑도는 시멘트 가격을 올해는 반드시 올려야겠다”고 단단히 벼르는 반면 레미콘 업체들은 “주택경기가 나쁜데 가격을 올린다는 게 말이 되느냐”며 서로 상반되는 의견으로 강력 반발하고 있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주요 레미콘업체인 유진기업은 2월분 시멘트값을 작년 단가인 t당 7만3600원으로 지난주 결제했다.

시멘트 제조사인 쌍용양회 한일시멘트 동양시멘트 성신양회 라파즈한라 아세아시멘트 현대시멘트 등 7개사가 9~10% 인상한 판매가격(t당 8만1000원)으로 발급한 ‘2월 세금계산서’를 무시하고 레미콘사가 ‘임의 결제’를 한 것이다. 다른 레미콘업체인 삼표와 아주산업은 인상된 가격으론 결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 하고 있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시멘트 제조사들은 ‘인상된 가격분’에 해당하는 금액을 ‘미수대금’으로 처리하기로 했다며 이 돈을 이달 중순까지 결제하라는 공문을 레미콘업체에 재발송하기로 했다고 한다.

당초 시멘트사들은 ‘인상가격’으로 결제하지 않으면 시멘트 공급을 끊겠다고 압박했으나 레미콘 업체들이 전면파업 등 역공에 나설 가능성을 우려해 일단 협상을 계속하기로 했다.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가뜩이나 어려운 건설사와 부동산 시장에 큰 악제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그러나 시멘트업계는 “생산 원가 반영해야”한다는 입장에서 한발도 양보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철럼 시멘트 제조사와 레미콘 업체의 갈등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2007년과 2009년에는 시멘트 공급이 중단되기도 했으며 2011년에는 레미콘 업체들이 파업하는 사태도 일어났다.

시멘트 제조사들은 누적 적자가 크기 때문에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각사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결산자료에 따르면 라파즈한라를 제외한 국내 시멘트 6개사는 2007년부터 6년간 누적 손실이 9701억원으로 조사 됐다. 분당 일산 등 1기 신도시 건설이 마무리되면서 시멘트 공급이 남아돌기 시작한 2000년대 이후 시멘트 제조사들의 가격 내리기 경쟁이 벌어지면서 수익성이 급격히 나빠진 것도 누적 손실을 부추킨 요인이 되기도 했다.

특히 외국계 기업인 라파즈한라가 2003년 당 6만7000원이던 시멘트 가격을 6만1000원으로 떨어뜨리면서 국내 시멘트사들도 경쟁적으로 가격을 내렸다. 2006년에는 더 하락해 시멘트 값이 t당 4만8000원까지 떨어지는 기이한 현상을 보이기도 했다.

시멘트 제조사들이 가격 인상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은 2011년도 이다. 가격 인상이 불가피 했던 요인은  원자재와 전기료가 급등했기 때문이다. 예컨대 시멘트 제조원가의 35%를 차지하는 유연탄 국제시세는 2009년 90달러에서 지난해 140달러대로 올랐고, 생산원가의 15%가량 들어가는 전기료는 최근 1년 사이에 11%나 올랐다.

시멘트 제조사들의 적자 주장에 대하여 레미콘사는 “시멘트업계 수익 낸다”는 입장이다.

시멘트 제조사의 주장과 달리 레미콘 업체들은 ‘다른 얘기’를 하고 있다. t당 5만3000원이었던 시멘트 가격을 2011년 6만7500원으로 27% 올려 2010년 수준으로 회복시킨 데 이어 2012년 9% 추가 인상했기 때문에 시멘트 제조사의 수익성이 오히려 좋아졌다는 것이다.

레미콘 업계는 6개 국내 시멘트 제조사들이 지난해 1494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고 하지만 영업이익은 2896억원 흑자로 전환했다고 강조했다. 한 레미콘 업체 관계자는 “한일시멘트가 자회사인 한일건설 법정관리 비용 1551억원을 순손실로 처리하지 않았다면 업계 전체 순이익도 흑자를 냈을 것”이라고 말했다.

레미콘 업체들은 또 시멘트 가격을 올릴 경우 도미노 현상을 우려했다. 모래 자갈 골재 등 다른 자재 가격도 덩달아 올라 갈 수 밖에 없다. 이런 위험 부담을 안고있는 레미콘 업계는 시멘트 가격 인상을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누구의 주장이 설득력이 있는 지는 실무를 다루는 관계자들 외에는 알수가 없다. 이처럼 양측의 가격 협상이 제대로 안 되는 데에는 동반성장위원회도 한 몫을 했다. 동반성장위가 레미콘을 ‘중기적합업종’으로 지정한 2011년 이후에는 싸움의 양상이 더 복잡해졌기 때문이다.

레미콘 업계는 중소업체들의 조직체인 ‘레미콘협동조합’과 중대형 업체들의 조직인 ‘레미콘공업협회’로 나뉘어 있는데, 동반성장위원회가 관급 레미콘 물량을 중소업체 조직인 레미콘협동조합으로 몰아주면서 중대형사와 중소업체 간 갈등이 생겼다는 것이다.

시멘트 업계는 대형 7개사 중심으로 짜여져 있는 반면 레미콘 업체들은 구심점이 없다. 가격협상을 ‘연합회’가 아닌 ‘서울·경인’ 레미콘협동조합이 주체가 되어 협상테이블에 앉는 일까지 벌어지면서 레미콘 업체의 모든 권익을 담당하기에는 다소 부족하다는 업체의 주장이다.

레미콘 제조 업체들이 이처럼“중대형 레미콘사들과 소형 레미콘사들로 이원화 되있는 현 시점에서는 시멘트 제조사들 역시  협상하기도 어렵다”는 것이 공통된 생각 이라고 시멘트 제조사 관계자는 말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