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가 공직에서 마지막 사명이라는 각오로 하려고 한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우리금융지주 민영화에 대한 의지를 다시 한번 강조했다.

신 위원장은 지난 18일 출입기자들과 가진 만찬에서 “우리금융 민영화는 지금 안 되면 5년을 또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제 직을 걸고 (임기 중에)할 것”이라며 “마지막 카드를 쓸 때가 됐다”고 말했다.

신 위원장은 매각 방식에 대해선 구체적인 언급을 꺼렸지만 “잠재적 수요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매각 방안은 분리(매각), 일괄(매각) 등 여러 조합이 있다”며 “일괄 매각을 어떤 방식으로 할지, 혼합을 할지에 따라 (매각 방안이)많이 나온다”고 밝혔다.

신 위원장은 또 “일괄 매각과 분할 매각을 대립된 개념으로 보는데 (정부가)일괄 매각해서 매수자가 분할하는 경우, 정부가 분할해서 매각하는 경우 등 여러 조합이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사의를 밝힌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의 후임으로는 민영화 철학이 있는 사람이 돼야 한다는 뜻을 재차 강조했다.

신 위원장은 “누가 회장이 되든 (조직에)안주하는 게 생기고 (회장으로서)즐기고 갈 수 있다는 욕구가 생길 수 있다”며 “민영화 철학이란 빨리 파는 것이고 철학이 확실히 있지 않으면 버겁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상반기 중 우리금융 매각 방안을 구체화해 조기에 매듭지을 방침이다. 신 위원장은 “(민영화는)더 끌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며 “후반기로 갈수록 동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정권 초기에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위원장은 최근 셀트리온으로 논란이 된 공매도 제도와 관련해 공매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공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나라 공매도 제도가 엄격해 가격을 의도적으로 내릴 수 있을 정도로 영향을 주진 않는다”면서도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작전이나 불공정거래 소지가 있을 수 있어 공시제도를 (도입하는 안을)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해외에서는 공매도 잔액에 대한 개별 공시가 있는 데 우리는 보고만 받고 있다”며 “(개별 공시 부분도)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 위원장은 벤처캐피탈을 정책금융 체계의 핵심으로 보고 규모를 키울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벤처 등 맞춤형 자금지원이 정책금융 체계의 핵심”이라며 “규모는 밝힐 수 없지만 벤처캐피탈 규모를 상상을 넘을 정도로 키울 예정”이라고 말했다.

신 위원장은 국내 금융이 안전한 곳만 찾아다니며 안주하는 현실에 대해 비판했다.

그는 “경쟁 없이 자연(스럽게) 독점되는 업종이 있는데 정유업계와 망 장사인 통신, ATM 장사인 은행이 있다”며 “우리나라 금융기관의 해외지점은 심하게 얘기하면 자녀교육을 위해 뉴욕, 런던으로 가는데 대기업들이 아프리카에서 냉장고를 팔듯 신흥시장으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금융감독체계 선진화, 우리금융 민영화, 정책금융 기관 개편, 금융기관 지배구조 선진화 등에 관한 방안을 상반기 중 마련할 계획이다.

금융감독체계 선진화 태스크포스(TF)는 김인철 성균관대 교수가 위원장을 맡고 지배구조 TF는 박경서 고려대 교수가 이끌 예정이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