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충일인 6일 박근혜 대통령은 추념사에서 “이제 북한이 선택해야 하는 변화의 길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이 되어 함께 공동의 노력을 해 나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한반도 행복시대를 열어가는 큰 길에 북한 당국의 적극적인 동참을 기대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이 6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58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박 대통령의 추념사가 있은지 1시간 30분 후, 북한은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대변인 특별담화를 통해 개성공단 정상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등을 위한 남북 당국간 회담 개최를 제안했다.

개성공단 문제를 풀기 위한 우리 정부의 당국간 회담 제의와 노력을 비판해 온 북한이 전격적으로 태도를 바꿔 당국간 회담을 제안한 것이다.

이에 정부는 남북장관급회담을 이달 12일 서울에서 열자고 북한에 공식 제의했다.

이를 계기로 박 대통령의 ‘원칙’과 ‘일관성’ 이라는 대북정책 기조가 결국 한반도에 대화 분위기를 조성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7일 전화통화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일관성 있고 원칙 있는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가 결국 북한을 공식 대화의 장으로 나오도록 했다”며 “이런 과정들이 한반도 신뢰 조성에 도움을 주고 남북관계도 복원할 수 있는 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취임 이후 개성공단 문제를 비롯, 한반도 긴장 수위를 높이려는 북한의 잇단 도발위협에 휘둘리지 않고 원칙에 입각한 일관된 대북메시지를  던졌다.

그 것은 바로 대화의 문은 항상 열어두되 ‘북한의 도발과 적당한 타협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겠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 3월 19일 종교지도자 초청 오찬에서 “북한의 핵위협은 얼렁뚱땅 넘어갈 수 없는 문제다. 핵을 머리에 이고 살 수 는 없다”면서 “북한이 도발 한다면 단호하게 대처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이 지금이라도 핵을 포기하고 올바른 길로 나온다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적극 가동해 북한을 지원하겠다는 약속을 드린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7일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그동안 도발하면 뭔가 보상해 주고 그 사이에 핵개발은 더욱 진전되는  악순환의 고리를 한·미가 끊어야 한다”고 분명히 했다.

북한의 개성공단 폐쇄 위협에도 흔들리지 않았다.

박 대통령과 정부는 북한의 ‘개성공단 근로자 철수’에 ‘남측 인력 전원 철수’로 대응했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최우선’ 이라는 원칙을 지킨 것이다.

이후 북한이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방북을 공식 허용하고 정상화 협의 가능성을 내비쳤지만 우리는 당국간 회담이 먼저라며 이를 거부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청와대 출입기자 초청 오찬간담회에서 “지금 와서 정부는 상대하지 않고 민간을 상대로 자꾸 오라는 식으로 하면 누가 그 안위를 보장할 것이냐”고 비판했다.

정부도 북한이 개성공단 관련 남북 당국간 대화 제의는 지속적으로 거부하면서 민간단체를 상대로 6·15 남북공동행사 개최를 제의하는 등 이중적 모습을 보이자  “북한이 남북관계 개선에 진정 관심이 있다면 우리 민간기업이나 단체를 접촉할 것이 아니라 하루 속히 남북 당국간 대화에 나와 신뢰를 쌓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북한의 당국간 회담 제의 발표에 대해 박 대통령은 “뒤늦게라도 북한에서 당국간 남북대화 재개를 수용한 것에 대해 다행스럽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남북간 대화를 통해 개성공단 문제를 비롯해 여러 현안을 해결하고 신뢰를 쌓아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더 나아가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가 발전적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남북간 대화 분위기 조성을 계기로 북한이 하루 속히 고립과 쇠퇴의 길을 버리고 대한민국과 국제사회가 내미는 평화의 손길을 용기있게 마주잡아 남북한 공동발전의 길로 함께 나아가게 되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