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존처리를 통해 확인된 가야시대 선박의 실체

지난해 김해시 봉황동 119-1번지 연립주택 신축부지 발굴조사 현장에서 출토된 선박부재의 보존처리 결과 가야의 배로 밝혀졌다.
 
발굴기관인 (재)동양문물연구원의 보존분석 의뢰를 받은 (재)영남문화재연구원은 방사성탄소연대측정결과 봉황동 출토 선박부재의 연대는 A.D 3~4세기이며 이와 관련한 유물공개설명회를 오는 1월 9일 오후 2시 영남문화재연구원 보존연구동에서 개최한다고 알렸다.

김해봉황동 119-1번지 유적은 선박 외에도 패총, 고상건물지, Y자형 목책시설, 토제방울 등이 출토되어 봉황동유적(사적 제2호)의 분포범위를 재확인한 유적으로 평가받아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보존처리는 2012년 7월부터 ‘13년 12월까지 약 18개월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목재보존처리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PEG-진공동결건조법으로 처리하였으며 대표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박부재는 길이 390cm, 폭 32~60cm, 두께 2~3cm의 대형목재유물로서 앞면에는 일부 문양과 쐐기 및 쐐기홈이 존재하고 한쪽 끝 부분은 다른 부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가공되어 있으며, 뒷면에는 2곳의 결구부가 확인되었다.

선박의 선수(뱃머리) 측판 상단부에 해당되며, 다른 부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가공되어 있어 최소 2∼3개 이상의 측판이 결합이 되는 것임을 추정할 때 선박의 전체길이는 최소 8∼15m 이상으로 판단된다.

수종분석 결과, 선박에 사용된 나무는 녹나무와 삼나무로 밝혀졌다. 녹나무는 난대성 수종으로 중국과 일본에 많이 자라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남해안 일부 지역과 제주도에서 생장하고 있다. 또한 삼나무는 일본 고유 수종으로 일본의 선박건조에 흔히 이용되는 수종으로 봉황동 출토 선박은 일본에서 건조되었을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봉황동 출토 선박”은 신석기시대 “비봉리유적 출토 배” 이후 국내에서 2번째로 오래된 배로 밝혀졌으며, 해상왕국의 실체를 증명한 획기적인 자료로 평가된다.
또한 비슷한 시기에 김해에서 출토되는 왜계유물의 유입과 운송의 매개체로 봉황동 유적이 가야의 무역항구 유적임을 밝히는데 중요한 연구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중앙뉴스 김해 /박미화기자]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