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유치 위해 한류‧경제발전 경험 등 한국만의 강점 적극 활용해야

[중앙뉴스= 이광재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최근 세계박람회(World Expo, 이하 엑스포)를 개최했던 4개국의 유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엑스포를 개최했던 국가들은 각국이 보유한 장점을 적극 활용하고 차별화된 전략으로 유치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에 따르면 공산당 1당 체제인 중국은 지도부의 강력한 리더십, 인터넷 이용률이 높은 아랍에미리트(이하 UAE)는 소셜미디어 홍보 전략이 엑스포 유치 성공의 비결로 조사됐다. 이탈리아는 참신한 주제 선정, 일본은 민관의 체계적 역할 분담을 통해 엑스포 유치에 성공했다.

(출처=유튜브 캡처)
(출처=유튜브 캡처)

중국은 지도층이 강력한 유치 의지를 가지고 중앙정부 차원에서 전폭적으로 지원한 끝에 2010년 상하이엑스포 유치에 성공했다. 장쩌민 주석은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 이어 2010년 엑스포를 2대 국가행사로 규정하고 총력 지원했고 주룽지 총리는 국제박람회기구(BIE) 의장 및 사무총장 면담, BIE 회원국 방문을 통해 중국의 엑스포 유치에 대한 지지를 호소했다.

또 중국 지도부는 다자회의 등 중요한 외교 장소에서 각국 정상과 수반에게 상하이 지지를 요청했다. 엑스포를 도시 외곽이 아닌 도심에서 개최해 도시재개발의 기회로 삼으려 한 중국은 개최지 선정 1년 전 이미 국제엑스포센터를 완공하고 상하이 중심부를 지나는 황푸강변 핵심부를 엑스포 부지로 활용하는 개발계획을 확정했다.

정부의 강력한 유치 의지와 사전 인프라 구축으로 중국은 상하이 유치에 성공할 수 있었다. 이러한 중국 정부의 적극적 지원으로 인해 상하이엑스포는 참가국 192개(국제기구 포함), 관람객 7309만명을 달성하며 역대 엑스포 중 최대 흥행을 기록했다.

2020 엑스포 개최지 선정 당시(2013년) 경쟁국에 비해 인터넷이용자 비율이 높았던 UAE는 자국의 강점을 살려 두바이엑스포 유치 홍보에 소셜미디어를 적극 활용했다.

2013년 UAE의 인구대비 인터넷 사용자비율은 88%로, 경쟁국인 러시아(68%), 브라질(51%)은 물론 UAE가 속한 중동‧아프리카 지역(36%)보다 월등히 높았다.

또 인터넷이용자 중 페이스북 이용자 비율이 아랍지역 24개국 중 1위(45%, 2010.12월)를 기록할 만큼 국민들의 소셜미디어 사용 비율도 높았다.

이러한 강점을 살려 UAE는 ‘#DubaiExpo2020’ 해쉬태그 달기 운동, 젊은 세대로 구성된 ‘UAE Expo2020 Ambassadors’ 등 SNS 홍보를 강화했다. 그 결과 개최지 투표 전 두바이엑스포 페이스북 페이지 팔로워 수는 85만4000여명으로 경쟁도시(터키 이즈미르 7만6407명, 브라질 상파울루 4261명,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 1591명)들을 압도했다.

또 개최지 확정 전까지 트위터 멘션(글)수는 두바이가 45%를 차지, 경쟁도시 3개를 크게 앞섰다. 소셜미디어 홍보를 통해 두바이 시민들의 유치 열기가 확산됐고 헐리우드 유명연예인과 유명 정치인 다수가 SNS에 두바이 지지를 표명하면서 UAE는 엑스포 유치에 성공했다.

이탈리아는 엑스포 역사상 처음으로 인류 공통 과제인 식량 문제를 전면에 내세워 2015년 밀라노엑스포 유치에 성공했다.

‘지구의 식량, 생명의 에너지(Feeding the planet, Energy for Life)’를 주제로 한 밀라노 엑스포는 식품안전, 농업‧생물다양성을 위한 기술, 농식품공급망, 식생활 교육, 음식문화 등 식량(식품)에 대해 모든 초점을 맞췄다.

이를 계기로 엑스포가 더 이상 신기술이나 국력을 선보이는 자리가 아닌 인류 보편적 과제 논의의 장으로 전환될 수 있었다.

이미 1970년 오사카엑스포를 개최했었던 일본은 민관의 체계적 역할 분담을 통해 2025년 오사카‧간사이엑스포 유치에 성공했다. 중앙정부는 외교루트를 통한 유치교섭 활동을 맡고 지방정부는 유치기본계획의 초안을 마련했고 유치활동 과정에서 주최지역의 목소리를 반영했다.

또 민간 경제계와 지방정부가 참여하고 경단련 등 민간이 주도하는 엑스포유치위원회를 구성해 민간부문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낸 것이 오사카가 55년 만에 다시 엑스포를 유치하게 된 원동력이 됐다.

전경련은 엑스포 유치에 성공한 국가의 사례를 토대로 2030 부산엑스포 유치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전경련은 첫째, 중국‧UAE처럼 우리나라가 가진 강점(한류,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발전한 발전경험 공유 등)을 국제박람회기구 회원국의 지지를 얻는데 활용하고 둘째, 이탈리아처럼 세계인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보편적 가치에 대한 주제와 세부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셋째, 올해 7월 발족한 국무총리 직속 ‘민관합동유치위원회’를 통해 일본의 사례처럼 정부‧지자체‧민간이 유기적으로 협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경련 유환익 산업본부장은 “엑스포 개최지의 투표 권한은 국제박람회기구 회원국에게 있으므로 회원국의 최고결정권자의 관심사 파악 등 회원국별 맞춤형 외교적 교섭전략을 강화해야 한다”며 “사우디 리야드가 오일머니를 내세워 아프리카 국가들에 지지를 얻고 있지만 한국만이 공유할 수 있는 개발경험 등을 강조하고 민관이 전략적으로 대응하면 승산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내년 상반기 국제박람회기구의 현지실사 때 시민의 유치열기와 지지도 주요 평가요소 중 하나이므로 유치열기 확산을 위한 국내 홍보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