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소비자심리 4년7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미국 관세 유예 등 소비심리 기대

[중앙뉴스= 김수영 ]미국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유예와 새정부 출범에 따른 기대심리로 소비심리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5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1.8로 전월 대비 8.0p 상승했다. 전월대비 상승폭은 지난 2020년 10월 12.3p 상승이후 4년7개월 만에 가장 크게 개선됐다. 지수 또한 지난해 11월 100.7 이후 6개월 만에 다시 100선을 웃돌면서 비상게엄 이전 사태 이전으로 회복한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망원동 과일가계 판매현장.(자료사진=중앙뉴스)
사진은 망원동 과일가계 판매현장.(자료사진=중앙뉴스)

CCSI(Composite Consumer Sentiment Index)는 소비자동향지수(CSI)중 6개 주요지수를 이용하여 산출한 심리지표로서 장기평균치(2003년 1월 ~ 2024년 12월)를 기준값 100으로 하여 100보다 크면 장기평균보다 낙관적임을,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소비자자심리지수는 현재생활형편,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등 6개의 주요 개별지수를 표준화하여 합성한 지수로서 경제 전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지수다.

먼저, 가계 재정상황을 알 수 있는 현재생활형편CSI(90) 및 생활형편전망CSI(97)는 각각 3p, 5p 상승했고, 가계수입전망CSI(99) 및 소비지출전망CSI(108)도 모두 3p 상승했다.

경제상황을 알 수 있는 현재경기판단CSI(63) 및 향후경기전망CSI(91)도 각각 11p, 18p 큰 폭으로 상승했다. 취업기회전망CSI(88)는 12p 상승한 반면, 금리수준전망CSI(93)는 3p 하락했다.

가계 저축 및 부채상황을 알 수 있는 현재가계저축CSI(93) 및 가계저축전망CSI(98)는 모두 2p 상승한 반면, 현재가계부채CSI(98) 및 가계부채전망CSI(97)는 각각 2p, 1p 하락했다.

물가상황을 알 수 있는 물가수준전망CSI(145)는 4p 하락했고, 주택가격전망CSI(111) 및 임금수준전망CSI(120)는 각각 3p, 2p 상승했다.

지난 1년간의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은 3.2%로 0.1%p 하락했다. 향후 1년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6%로 0.2%p 하락했으며, 3년후 및 5년후 기대인플레이션율도 2.5%로 0.1%p 하락했다.

    소비심리지수.(자료사진=한국은행 제공)
    소비심리지수.(자료사진=한국은행 제공)

향후 1년간 기대인플레이션율에 대해 2~3%대의 응답비중이 가장 많았으며 비중은 2.3%p 상승하였고 3년후 및 5년후 기대인플레이션도 2~3%대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의 응답 비중은 농축수산물(51.3%), 공공요금(47.0%), 공업제품(33.4%) 순이었으며, 전월에 비해서는 공공요금(+2.6%p), 개인서비스(+2.3%p)의 응답 비중이 증가한 반면, 공업제품(-4.9%p) 비중은 감소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도시 2천500가구(응답 2천282 가구)를 대상으로 5월13일 ~ 20일 간 진행됐다. 내수 경기가 서민들이 많이 찾는 전통 제례 시장에서 저렴하게 파는 과일 가계를 선호한다는 현장의 소비자들의 목소리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