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뉴스= 신현지 기자]도시의 공중 이동 수단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에어택시 현실화를 위해 정부의 지역별 맞춤형 지원이 본격화된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국토교통부는 지자체 특성 및 준비 계획에 맞추어 지원 방향을 다각화해 예산 지원은 물론, R&D·실증 연계, 전문기관 컨설팅 등을 통해 K-UAM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이번 지원계획은 지난 4월에 공고한 2025년 도심항공교통 지역시범사업 지원 공모에 지원한 사업에 대해 서면평가·현장실사 및 발표평가를 거쳐 지자체가 제시한 사업계획을 토대로 각각의 지원 방향을 설정했다.

사업화 지원 방향은 지역 내 기반과 사업의 구체화 정도에 따라 예산 지원형, R&D 및 실증 연계형, 전문컨설팅 지원형으로 구분했다. 

국토부는 사업의 실현가능성이 높고, 사업계획이 구체적인 지역에 대해 UAM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먼저, 제주는 제주공항과 지역 관광거점을 연결하는 관광노선을 계획하고 있어 국토부가 버티포트 설계 예산을 지원하기로 했다.

서울·경기·인천 UAM 지역시범사업 계획안 (자료=국토부)
서울·경기·인천 UAM 지역시범사업 계획안 (자료=국토부)

대구·경북은 도로공사, 경찰청 등의 공동 참여로 산불감시, 고속도로 사고모니터링 등 공공형 사업을 구체화하고 있어 사업계획 수립 및 버티포트 설계 예산을 지원한다.

전남·경남은 문체부에서 남부권 광역관광 개발계획에 따라 버티포트 인프라 등 관광기반 구축을 위한 예산 지원함에 있어 국토부가 시범운용구역 지정 등 제도적 측면 지원을 병행할 계획이다.

울산은  기존 도로 중심 교통체계에서 벗어나  UAM을 통해 태화강과 울산역을 잇는 대체 교통망을 계획하고 있어 국토부는 UAM 핵심기술개발 R&D 실증지로 버티포트를 구축할 계획이다.

서울·경기·인천은 인천·김포공항과 수도권 도심을 연결하는 공항셔틀노선 계획에 민간 수요가 예상됨에 따라, 국토부는 도심지 실증 시설을 구축한 다음, 시범사업과 연계할 계획이다. 

부산은 연계 교통망이 우수한 부산역과 해운대를 연결하는 교통·관광 통합형 사업을 계획하고 있어 국토부는 버티포트 개발 규제사항과 주변 장애물(대형 선박, 교량)을 고려하여 제도·기술적 컨설팅을 지원할 예정이다.

충북은 산불 등 재난 상황 대응 시 운용하는 헬기를 UAM으로 대체하는 사업을 계획하고 있으며, 국토부는 버티포트 입지 구체화와 충청권 초광역 연계 방향에 대한 사업 컨설팅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밖에 전북, 강원, 충남 등 공모 미신청 지자체에 대해서도 자체검토 중에 있는 거점역 중심 버티포트 구축 계획 등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전문기관의 컨설팅 지원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김홍목 국토교통부  모빌리지자동차국장은 “지역실정에 맞는 실질적인 지원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K-UAM 서비스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