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사박물관, ‘미증유의 대홍수: 1925 을축년’ 개최
[중앙뉴스= 신현지 기자]서울역사박물관은 올해의 서울반세기종합전으로 을축년 대홍수 발생 100년을 맞이해 ‘미증유未曾有의 대홍수: 1925 을축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오는 26일부터 11월 16일까지 기획전시실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20세기 한반도 최악의 홍수’로 불리는 을축년 대홍수(乙丑年 大洪水)를 통해 오늘의 기후 위기 시대를 함께 고민한다.
을축년 대홍수는 1925년 7~9월 동안 총 네 차례에 걸쳐 발생했다. 특히 7월 9~11일과 15~19일 두 차례는 한강 연안에 비가 집중되어 경성과 그 일대가 피해를 입었다. 현재까지도 집중호우나 태풍으로 수해가 일어날 때마다 언급되는 역사적인 사건으로 기록된다.
이에 이번 전시 제목의 ‘미증유未曾有의 대홍수’는 당시 을축년 대홍수에 대한 대표적인 수식어다. 미증유(未曾有)란 ‘지금까지 한 번도 있어 본 적이 없다’는 뜻이다.
전시는 총 3부로 구성되었다. 1부에서는 을축년 대홍수의 원인과 피해, 구제 등 재난 당시에 일어난 일을, 2부에서는 을축년 대홍수가 도시 경성과 사람들의 삶에 미친 영향을, 3부에서는 현대의 한강 홍수 관리와 앞으로 도래할 기후 위기 시대에 대한 고민을 담았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도입부에서 쏟아지는 폭우를 시각적·청각적으로 체험하고, 빗속을 지나면 1부 전시장에서 가옥이 홍숫물에 잠긴 광경을 구현했다.
이에 1부 는 을축년 대홍수라는 재난 자체에 초점을 맞춰, 한반도의 기후적 특성과 미흡했던 방재 대책으로 인해 발생한 홍수가 경성과 그 주변 지역에 끼친 막대한 피해를 당대 자료를 통해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또 일제의 식민 통치 아래 이재민 구제에서 드러난 민족 차별로 이중의 고통을 겪으면서도 서로 연대하며 어려움을 이겨낸 조선인들을 이야기한다.
2부 ‘도시를 바꾼 큰물’에서는 을축년 대홍수가 지나간 이후, 도시와 사람들에게 남은 영향을 조명한다. 또한 수해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며 고난을 전국적으로 함께 이겨낸 경험과 재난에 대한 사회적인 연대로까지 이어졌다는 점을 이야기한다.
3부 ‘다시, 홍수를 말하다’에서는 광복 이후 현대 서울과 치수 사업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도시 서울의 건설은 수해로부터의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서울이 가진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도 활용되어 시대별 변천에 따라 달라진 치수 사업을 돌아본다. 또 관람객이 함께 홍수에 대한 대응 방법을 공유 기후 위기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는 장도 마련했다.
한편, 이번 전시에서는 도록을 대신해 전시되는 유물 중 하나인 '천령맹위: 경성부근수해사진화보'를 영인하고 전시 내용을 보강할 칼럼을 실은 기념 도서를 출간할 예정이다. 또 전시 개막에 맞춰 이번 전시를 위해 특별히 준비한 굿즈인 다회용 우비를 포함한 방수 파우치도 준비했다.
최병구 서울역사박물관장은 “을축년 대홍수를 통해 홍수의 심각성을 돌아보고 기후 위기 시대를 맞아 극한 호우로부터 안전한 미래 서울을 다 함께 고민하는 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