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중소벤처 R&D 혁신방안' 발표
팁스방식 기술개발(R&D)에 1.1조원 투입

[중앙뉴스= 신현지 기자]중소벤처기업부가 내년 중소벤처 연구개발(R&D) 예산을 역대 최대 규모인 2조2000억원으로 편성했다. 팁스(TIPS) 방식의 연구개발(R&D) 예산을 대폭 확대하고 ‘민관공동 기술사업화 한국형 STTR도 신설하는 등 지원체계를 대폭 개편한다는 방침이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중소벤처기업부는 2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중소벤처 기술개발(R&D)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중기부의 이번 기술개발(R&D) 혁신방안은 시장에 빠르게 대응하는 강한 중소기업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중소기업의 경제적 성과로 연결되는 ‘돈이 되는 기술개발(R&D)’에 집중 투자하는 방향으로 개편한다. 이를 위해 중기부는 2026년 중소벤처 기술개발(R&D) 정부 예산안을 올해보다 7000억 원 늘려 역대 최대규모인 2.2조원으로 편성했다.

중기부는 먼저, 팁스 방식 R&D 확대와 고도화에 1조 1000억 원을 투자한다. 민간 벤처캐피탈이 먼저 투자하는 ‘팁스방식 기술개발(R&D)’는 기존의 창업지원 중심에서, 성장(스케일업)과 글로벌 진출까지 성장 전주기 지원체계로 확대한다.

스타트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스케일업 팁스 기술개발’의 신규과제는 올해 152개에서 내년 300개로 지원규모가 약 2배로 늘어나고, 과제별 지원규모도 기존 12억원에서 최대 30억원까지 상향한다. 또한, ‘글로벌 팁스 기술개발’를 신설해 4년간 최대 60억원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딥테크 등 첨단 전략분야는 당초 계획된 기술개발(R&D) 목표를 기술과 시장변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무빙타겟’ 방식을 도입한다. 특히, 중기부 기술개발(R&D) 중 최대규모인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에 4년간 최대 200억원까지 지원한다.

또  미국 공공기관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프로그램인 STTR 제도를 벤치마킹한  일명 한국형 STTR도 신설한다. 이는 공공기술을 기업 성과로 이어주기 위한 것으로‘ 기술·시장성을 우선 검증하고, 기술개발(R&D) 수행 후 기술개발(R&D) 성과가 우수한 과제에 투·융자, 수출, 마케팅 등 후속사업화까지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3단계 지원체계로 운영할 계획이다.

R&D 이후 사업화를 위한 ‘기술사업화 패키지 사업’도 신설한다. 해당 사업은 각 부처의 정부 기술개발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사업화 전담기관이 주치의 방식으로 사업화 프로그램을 처방한 후, 투·융자, 정책자금, 수출, 마케팅, 인증 등을 메뉴판식으로 맞춤 지원할 예정이다.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해 기업이 아닌, 기술과 기술개발(R&D) 프로젝트 중심으로 가치평가를 하고 보증을 하는 기술개발(R&D) 사업화 보증도 신설해 3,100억원의 보증을 공급할 예정이다.지역 주력산업, 인공지능(AI)·생명공학(바이오)·탄소중립 등은 별도의 트랙을 만들어 지원할 계획이다.

이밖에 분야별 전략적 R&D를 지원한다. 지역 주력산업 육성 969억원, 중소기업의 AI 활용·확산 450억원, 바이오-AI 벤처와 제약기업 간 협업형 공동 R&D에 118억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은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이다.

또 중소기업 R&D 지원 체계도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한다. 기업 정보를 바탕으로 신청 가능한 사업을 맞춤형으로 안내하는 챗봇, 사업계획서 작성을 보조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도입한다. 또 전문 평가위원 풀을 3만명으로 늘리고, 기업이 평가위원을 평가하는 역평가제도도 확대 적용한다. 특히, 현재 최대 20종에 달하는 서류는 신청단계에서는 평가에 필요한 최소서류만 제출하고, 선정 이후 필요한 서류를 행정정보망 등과 연계,사후 확인 및 제출하는 방식으로 변경한다.

한성숙 장관은 “기술개발(R&D) 지원은 기업의 혁신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최고의 기업 정책”이라며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고 국가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돈이 되는 기술개발(R&D), 시장의 선택을 받는 기술을 집중 지원해야 하며, 이를 위해 기술개발 지원 정책을 대폭 개편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